조직 변형률: 두 판 사이의 차이

178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1월 27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공식)
1번째 줄: 1번째 줄:
'''조직 변형률 (percent tissue altered, PTA)''' 은 2014년 Santhiago 등<ref>Santhiago MR et al. Association btw the PTA and post-LASIK ectasia in eyes w normal preoperative topography. ''AJO''. 2014 Jul;158(1):87-95.e1. [https://pubmed.ncbi.nlm.nih.gov/24727263/ 연결]</ref>이 처음 소개하였으며, 이 수치가 절삭량 (ablation depth, AD) 또는 잔여 실질 (residual stromal bed, RSB) 과 비교했을 때 [[라식]]으로 유발되는 생체학적 변화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고 하였다<ref>Santhiago MR et al. Changes in custom biomechanical variables after FS LASIK and PRK for myopia. ''JCRS''. 2014 Jun;40(6):918-28. [https://pubmed.ncbi.nlm.nih.gov/24726160/ 연결]</ref>.
'''조직 변형률 (percent tissue altered, PTA)''' 은 2014년 Santhiago 등<ref>Santhiago MR et al. Association btw the PTA and post-LASIK ectasia in eyes w normal preoperative topography. ''AJO''. 2014 Jul;158(1):87-95.e1. [https://pubmed.ncbi.nlm.nih.gov/24727263/ 연결]</ref>이 처음 소개하였으며, 이 수치가 절삭량 (ablation depth, AD) 또는 잔여 실질 (residual stromal bed, RSB) 과 비교했을 때 [[라식]]으로 유발되는 생체학적 변화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고 하였다<ref>Santhiago MR et al. Changes in custom biomechanical variables after FS LASIK and PRK for myopia. ''JCRS''. 2014 Jun;40(6):918-28. [https://pubmed.ncbi.nlm.nih.gov/24726160/ 연결]</ref>.
== 공식 ==
== 공식 ==
  PTA = (FT + AD) ÷ CCT
  라식 : PTA = (FT + AD) ÷ CCT × 100
[[굴절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술|PRK]] : PTA = (상피 두께 + AD) ÷ CCT × 100
[[스마일]] : PTA = (cap 두께 + lenticule 두께) ÷ CCT × 100
  (※ FT : 절편 두께 (flap thickness), CCT : 술 전 중심 각막 두께)
  (※ FT : 절편 두께 (flap thickness), CCT : 술 전 중심 각막 두께)


40% 이하이면 술 후 각막 확장증의 위험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40% 이하이면 술 후 각막 확장증의 위험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