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원인) |
잔글 (→역학)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외상성 근시 (traumatic myopia)''' 는 안구 외상 후 발생하는 안구의 가변적 근시성 변화를 말하며, 1870년 Kugel이 외상 후 발생하는 근시에 대해 처음 발표하였으며 그 이후 외상 후 가변적 근시에 대해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 '''외상성 근시 (traumatic myopia)''' 는 안구 외상 후 발생하는 안구의 가변적 근시성 변화를 말하며, 1870년 Kugel이 외상 후 발생하는 근시에 대해 처음 발표하였으며 그 이후 외상 후 가변적 근시에 대해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 ||
== 역학 == | == 역학 == | ||
수상안에 주로 발생하고 종종 양안에 관찰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1.0~-6.0 D 까지 굴절률의 변화는 다양하고 갑자기 발생하여 가변적이며, 수주 혹은 몇 달 이내 정상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Sedaghat MR et al. Induced Myopia Secondary to Blunt Trauma. ''Case Rep Ophthalmol Med''. 2019 Dec 30;2019:1632828. [https://pubmed.ncbi.nlm.nih.gov/31976104/ 연결]</ref><ref>Ikeda N et al. Traumatic myopia secondary to ciliary spasm after blunt eye trauma and reconsideration of its pathogenesi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6 Jul;254(7):1411-7. [https://pubmed.ncbi.nlm.nih.gov/26860527/ 연결]</ref>. | 수상안에 주로 발생하고 종종 양안에 관찰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1.0~-6.0 D 까지 굴절률의 변화는 다양하고 갑자기 발생하여 가변적이며, 수주 혹은 몇 달 이내 정상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Sedaghat MR et al. Induced Myopia Secondary to Blunt Trauma. ''Case Rep Ophthalmol Med''. 2019 Dec 30;2019:1632828. [https://pubmed.ncbi.nlm.nih.gov/31976104/ 연결]</ref><ref name=r2>Ikeda N et al. Traumatic myopia secondary to ciliary spasm after blunt eye trauma and reconsideration of its pathogenesi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6 Jul;254(7):1411-7. [https://pubmed.ncbi.nlm.nih.gov/26860527/ 연결]</ref>. | ||
== 원인 == | == 원인 == | ||
발생하는 근시성 변화에 대한 원인 및 기전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 발생하는 근시성 변화에 대한 원인 및 기전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