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두 판 사이의 차이

7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3월 15일 (금)
잔글
잔글 (→‎역학)
잔글 (→‎역학)
1번째 줄: 1번째 줄: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각막}} 는 낮은 독력 (virulence) 을 보이는 그람 음성균이다.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Acinetobacter baumannii'')'''{{각막}} 는 낮은 독력 (virulence) 을 보이는 그람 음성균이다.
== 역학 ==
== 역학 ==
중환자실의 면역 결핍 환자에서 병원 내 감염으로 주로 발생하고 눈에서의 감염은 드물다. 전 세계적으로 노출 각막염, 감염 결절 각막병증, 전체층 각막 이식술 후, 콘택트렌즈 착용, 백내장수술 후 보조절개 (side port) 창에서 발생한 증례보고만이 있다.3-7 국내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 4개월만에 발생한 1예<ref>김성택 등, 콘택트렌즈 착용 후 발생한 Acinetobacter Baumannii 각막염 1예, ''한안지'' 2008;49(10):1696-170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649 연결]</ref>, 항생제와 스테로이드 안약을 장기간 점안한 환자에서 칸디다와 복합 감염된 1예<ref>최재광 등, </ref> MDR-AB와 칸디다 파라프실로시스가 복합감염된 각막염 1예, ''한안지'' 2012;53(8):1167-117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606 연결]</ref>그리고 5증례를 모아 보고한 경우<ref>신경윤 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각막염의 임상적 특징, ''한안지'' 2015;56(4):607-613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784 연결]</ref>를 합쳐 7예가 있는데, 한 개 증례에서만 전체층 각막 이식술을 하였고 나머지는 대부분 약물 투여로 호전되었다.
중환자실의 면역 결핍 환자에서 병원 내 감염으로 주로 발생하고 눈에서의 감염은 드물다. 전 세계적으로 노출 각막염, 감염 결절 각막병증, 전체층 각막 이식술 후, 콘택트렌즈 착용, 백내장수술 후 보조절개 (side port) 창에서 발생한 증례보고만이 있다.3-7 국내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 4개월만에 발생한 1예<ref>김성택 등, 콘택트렌즈 착용 후 발생한 Acinetobacter Baumannii 각막염 1예, ''한안지'' 2008;49(10):1696-170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649 연결]</ref>, 항생제와 스테로이드 안약을 장기간 점안한 환자에서 칸디다와 복합 감염된 1예<ref>최재광 등, MDR-AB와 칸디다 파라프실로시스가 복합감염된 각막염 1예, ''한안지'' 2012;53(8):1167-117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606 연결]</ref>그리고 5증례를 모아 보고한 경우<ref>신경윤 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각막염의 임상적 특징, ''한안지'' 2015;56(4):607-613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784 연결]</ref>를 합쳐 7예가 있는데, 한 개 증례에서만 전체층 각막 이식술을 하였고 나머지는 대부분 약물 투여로 호전되었다.


== 다제 내성 ==
== 다제 내성 ==
다제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DR-AB) 는 제4급 법정 감염병으로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모두 내성을 나타내며, 국내외에서 점차적으로 내성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ef>Neonakis IK et al. Confronting MDR-AB : a review. ''Int J Antimicrob Agents''. 2011 Feb;37(2):102-9. [https://pubmed.ncbi.nlm.nih.gov/21130607/ 연결]</ref><ref>Ibrahim S et al. MDR-AB as an emerging concern in hospitals. Mol Biol Rep. 2021 Oct;48(10):6987-6998. doi: 10.1007/s11033-021-06690-6. Epub 2021 Aug 30. PMID: 34460060; PMCID: PMC8403534.</ref>.
다제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DR-AB) 는 제4급 법정 감염병으로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에 모두 내성을 나타내며, 국내외에서 점차적으로 내성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ef>Neonakis IK et al. Confronting MDR-AB : a review. ''Int J Antimicrob Agents''. 2011 Feb;37(2):102-9. [https://pubmed.ncbi.nlm.nih.gov/21130607/ 연결]</ref><ref>Ibrahim S et al. MDR-AB as an emerging concern in hospitals. Mol Biol Rep. 2021 Oct;48(10):6987-6998. doi: 10.1007/s11033-021-06690-6. Epub 2021 Aug 30. PMID: 34460060; PMCID: PMC8403534.</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