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5월 19일 (일)
잔글
잔글 (→‎치료)
42번째 줄: 42번째 줄:


== 치료 ==
== 치료 ==
전형적 CNV와의 큰 차이점 중 하나는 빠른 증식을 보이지는 않으면서 원반반흔이 적게 발생한다는 점이다. 때로는 증식이 더 이상 진행하지 않으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활동성으로 변할 가능성도 있고, 드물지만 처음부터 누출이 없는 상태에서 오랜 기간 유지될 수도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치료는 황반을 포함하거나 침범하려고 하는 삼출 변화가 있을 때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전형적 CNV와의 큰 차이점 중 하나는 빠른 증식을 보이지는 않으면서 원반 반흔이 적게 발생한다는 점이다. 때로는 증식이 더 이상 진행하지 않으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활동성으로 변할 가능성도 있고, 드물지만 처음부터 누출이 없는 상태에서 오랜 기간 유지될 수도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치료는 황반을 포함하거나 침범하려고 하는 삼출 변화가 있을 때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 국소 레이저 치료 ===
=== 국소 레이저 치료 ===
가장 먼저 시행된 치료이다. 처음에 출혈, 삼출 변화는 대부분 PCV의 이상 혈관 결절에서만 발생하므로, <span style='color:blue;'>BVN 부위는 제외하고 활동성 결절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치료</span>하여도 효과적이다. 중심와 바깥에 위치한 결절에 대해 레이저 치료를 시행했을 때, 1년 정도 단기간 에는 70~80%에서 병변과 시력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장기간 추적하면, 남아 있는 BVN에서 새로운 결절이 형성되어 반복적인 치료가 필요하게 되고, 원인 미상의 누출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재발성, 만성적 경과는 결국 망막 색소상피 위축이나 섬유화 반흔을 초래하여,약 3년 경과하면 50% 이상에서 0.2 이하로 시력이 떨어진다는 보고도 있다<ref>Yuzawa M et al. A study of laser photocoagulation for PCV. ''Jpn J Ophthalmol''. 2003 Jul-Aug;47(4):379-84. [https://pubmed.ncbi.nlm.nih.gov/12842207/ 연결]</ref>. 광역학 치료나 anti-VEGF 약제가 개발되면서 레이저치료의 유용성은 많이 줄었으며, 일차 치료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작은 크기의 시신경 유두 주위 PCV와 같이 전체 이상혈관이 황반에서 벗어나 있어서 안전하게 치료할 수만 있다면, 전 병변을 레이저 치료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재발 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반복되는 anti-VEGF 주사에도 호전이 없으면서, 중심와 바깥에 활동성 결절이 있다면 레이저를 고려할 수 있다.
가장 먼저 시행된 치료이다. 처음에 출혈, 삼출 변화는 대부분 PCV의 이상 혈관 결절에서만 발생하므로, <span style='color:blue;'>BVN 부위는 제외하고 활동성 결절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치료</span>하여도 효과적이다. 중심와 바깥에 위치한 결절에 대해 레이저 치료를 시행했을 때, 1년 정도 단기간 에는 70~80%에서 병변과 시력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장기간 추적하면, 남아 있는 BVN에서 새로운 결절이 형성되어 반복적인 치료가 필요하게 되고, 원인 미상의 누출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재발성, 만성적 경과는 결국 망막 색소상피 위축이나 섬유화 반흔을 초래하여,약 3년 경과하면 50% 이상에서 0.2 이하로 시력이 떨어진다는 보고도 있다<ref>Yuzawa M et al. A study of laser photocoagulation for PCV. ''Jpn J Ophthalmol''. 2003 Jul-Aug;47(4):379-84. [https://pubmed.ncbi.nlm.nih.gov/12842207/ 연결]</ref>. 광역학 치료나 anti-VEGF 약제가 개발되면서 레이저치료의 유용성은 많이 줄었으며, 일차 치료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작은 크기의 시신경 유두 주위 PCV와 같이 전체 이상혈관이 황반에서 벗어나 있어서 안전하게 치료할 수만 있다면, 전 병변을 레이저 치료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재발 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반복되는 anti-VEGF 주사에도 호전이 없으면서, 중심와 바깥에 활동성 결절이 있다면 레이저를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