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학) |
잔글 (→절개, 배농)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절개, 배농 === | === 절개, 배농 === | ||
만성적으로 낭종을 형성하면 절개하여 내용물을 긁어내야 한다. 염증이 주로 눈꺼풀의 뒤층판에 있을 때는 결막을 통해 눈꺼풀판에 수직 방향의 절개를 가하고 낭종의 벽을 포함해서 괴사성 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병변이 눈꺼풀테나 눈물점 근처에 있을 때는 이런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특히 조심해야 한다. 드물게는 염증이 주로 눈꺼풀의 앞층판에만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는 피부와 눈둘레근에 수평 방향의 절개를 가하고 육아종 병변을 제거한다. | 만성적으로 낭종을 형성하면 절개하여 내용물을 긁어내야 한다. 염증이 주로 눈꺼풀의 뒤층판에 있을 때는 결막을 통해 눈꺼풀판에 수직 방향의 절개를 가하고 낭종의 벽을 포함해서 괴사성 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병변이 눈꺼풀테나 눈물점 근처에 있을 때는 이런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특히 조심해야 한다. 드물게는 염증이 주로 눈꺼풀의 앞층판에만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는 피부와 눈둘레근에 수평 방향의 절개를 가하고 육아종 병변을 제거한다. | ||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
# 협조가 되지 않는 소아는 전신 마취가 필요할 수 있다. | |||
# 점안마취제 투여 후 2% 리도카인과 에피네프린 1:100,000을 병변 주위 피부와 눈꺼풀판 위 결막에 주입한다. | |||
# 콩다래끼 클램프 (chalazion clamp) 로 눈꺼풀을 뒤집어서 위치시킨다. 클램프를 조여서 눈꺼풀 위치를 적절하게 고정하고 지혈 효과를기대한다. | |||
# 11번 칼을 사용하여 눈꺼풀판의 병변을 눈꺼풀테와 수직으로 절개한다. | |||
# 낭의 내용물을 적절한 크기의 콩다래끼 큐렛을 사용하여 긁어낸다. | |||
# 지혈이 필요한 경우 주로 상처 가장자리에 열지짐을 할 수 있다. | |||
# 소파술 후 병변내 스테로이드를 추가로 주사할 수 있다. | |||
# 소량의 항생제 연고를 도포한 후 안대를 대고 눌러 고정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