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285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잔글 (→‎역사)
1번째 줄: 1번째 줄:
'''치료 콘택트렌즈 (therapeutic contact lens; TCL)'''{{콘택트렌즈}} 는 시력 교정보다는 각막 창상 치유 촉진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콘택트렌즈 (CL) 를 말한다.
'''치료 콘택트렌즈 (therapeutic contact lens; TCL)'''{{콘택트렌즈}} 는 시력 교정보다는 각막 창상 치유 촉진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콘택트렌즈 (CL) 를 말한다.
== 역사 ==
== 역사 ==
1800년대 의사인 Xavier Glezowsk가 'Plaquettes' 라는 젤라틴 물질을 이용한 치료용 렌즈를 처음 사용한 이래, Miller가 유리로 보호용 덮개를 [[토안]] 환자에게 21년간 착용시켰다는 기록이 있다.1950년대 후반 PMMA [[하드 콘택트렌즈]]를 백내장 수술 후 시력 보완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국내에서도 1960년대 초부터 사용하였다.<br />&nbsp;&nbsp;1970년대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소개와 더불어 치료용 렌즈의 사용도 많은 발전을 하게 되었는데, 1973년 American Optical 사가 치료용 렌즈를 FDA로부터 공인 받았으며, 1975년 바슈롬 사의 'Plano-T'를, 1979년도에는 Copper 사의 'Perma' 렌즈가 치료용으로 개발되어 각막 미란, 마비성 각막염, 각막 천공 등에 사용되었다. 또한 Breath-O 렌즈와 Perma 렌즈가 무수정체안에 연속 착용 렌즈로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치료용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가격이 비싸고 산소 투과성이 낮고 소독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으나, 1987년 이후에는 가격이 싸고 소독이 필요 없는 일회용 렌즈로 대체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상피 재생 장애, 수포 각막병증, 반복 각막 미란, 실모양 각막염 등의 치료 목적 뿐만 아니라 굴절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술 후에도 통증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졌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SCL) 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데, 최근에는 다른 렌즈로도 치료에 실패한 경우 각막 창상의 보호를 위해 공막 렌즈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ref>Ridley F. Therapeutic uses of scleral contact lenses. ''Int Ophthalmol Clin''. 1962 Oct;2:687-716. [https://pubmed.ncbi.nlm.nih.gov/13982241/ 연결]</ref>. 가스-투과 공막 렌즈는 좀 더 최근에 만들어 졌고, 이로 인해 기존 공막 렌즈의 단점인 저산소증을 부분적으로 해결하여 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였다<ref>Schein OD et al. A gas-permeable scleral contact lens for visual rehabilitation. ''AJO''. 1990 Mar 15;109(3):318-22. [https://pubmed.ncbi.nlm.nih.gov/2309865/ 연결]</ref>. 1990년대 말에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가 소개되었는데, 이 렌즈는 높은 Dk/t (산소 전달률) 를 가짐으로써, 기존의 하이드로겔 렌즈에 비해 장점을 보여 다양한 각막 질환에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ref>Lim L et al. Therapeutic use of B&L PureVision CL. ''CLAO J''. 2001 Oct;27(4):179-85. [https://pubmed.ncbi.nlm.nih.gov/11725978/ 연결]</ref>.
 
== 기전 ==
== 기전 ==
* 물리적 장벽의 역할 : 노출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눈꺼풀의 기능 이상이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
* 물리적 장벽의 역할 : 노출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눈꺼풀의 기능 이상이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