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6월 24일 (월)
잔글
(새 문서: '''컬러 콘택트렌즈 (colored contact lens)'''{{콘택트렌즈}} == 역학 == 최근 들어 소프트 콘택트렌즈 (SCL) 가 콘택트렌즈 (CL)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여기에 특히 미용 목적의 컬러 CL 부분의 증가가 큰 부분을 차지한다. 국내 전체 CL 착용자 중 약 30%가 컬러 CL을 착용한다는 보고도 발표되었다<ref>Rah MJ et al. A meta-analysis of studies on cosmetically tinted SCL. ''Clin Ophthalmol''. 20...)
 
3번째 줄: 3번째 줄:
최근 들어 소프트 콘택트렌즈 (SCL) 가 콘택트렌즈 (CL)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여기에 특히 미용 목적의 컬러 CL 부분의 증가가 큰 부분을 차지한다. 국내 전체 CL 착용자 중 약 30%가 컬러 CL을 착용한다는 보고도 발표되었다<ref>Rah MJ et al. A meta-analysis of studies on cosmetically tinted SCL. ''Clin Ophthalmol''. 2013;7:2037-42. [https://pubmed.ncbi.nlm.nih.gov/24143071/ 연결]</ref>.
최근 들어 소프트 콘택트렌즈 (SCL) 가 콘택트렌즈 (CL)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여기에 특히 미용 목적의 컬러 CL 부분의 증가가 큰 부분을 차지한다. 국내 전체 CL 착용자 중 약 30%가 컬러 CL을 착용한다는 보고도 발표되었다<ref>Rah MJ et al. A meta-analysis of studies on cosmetically tinted SCL. ''Clin Ophthalmol''. 2013;7:2037-42. [https://pubmed.ncbi.nlm.nih.gov/24143071/ 연결]</ref>.
== 분류<ref>Lazarus M. Cosmetic and prosthetic contact lenses. In : Phillips AJ, Speedwell L. Contact lenses, 5th ed. Oxford: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2007. pp. Chap 25.</ref> ==
== 분류<ref>Lazarus M. Cosmetic and prosthetic contact lenses. In : Phillips AJ, Speedwell L. Contact lenses, 5th ed. Oxford: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2007. pp. Chap 25.</ref> ==
* 미용 렌즈 (cosmetic lens) : 중심의 광학부와주변부 착색 부위를 갖는 렌즈로, 각막을 크게 보이게 하고 홍채 색에 변화를 주어 미용 목적으로 사용된다.
* 미용 렌즈 (cosmetic lens) : 중심의 광학부와 주변부 착색 부위를 갖는 렌즈로, 각막을 크게 보이게 하고 홍채 색에 변화를 주어 미용 목적으로 사용된다.
* 보조구 렌즈 (prosthetic lens) : 시력이 없는 눈의 모양을 변화시켜 준다.
* 보조구 렌즈 (prosthetic lens) : 시력이 없는 눈의 모양을 변화시켜 준다.
== 장점 ==
== 장점 ==
겉모습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눈부심, 복시, [[무홍채증]] 등의 환자에서는 치료 목적으로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겉모습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눈부심, 복시, [[무홍채증]] 등의 환자에서는 치료 목적으로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