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병인) |
잔글 (→병인)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병인 == | == 병인 == | ||
이러한 유착 복합체 (attachment complex) 의 이상은 상피의 탈락을 야기한다. 표면 각막 외상은 바닥막의 손상을 야기해 정상적인 유착 복합체의 재형성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ref>Khodadoust AA et al. Adhesion of regenerating corneal epithelium. The role of basement membrane. ''AJO''. 1968 Mar;65(3):339-48. [https://pubmed.ncbi.nlm.nih.gov/5640539/ 연결]</ref>. 기능을 못하는 유착 복합체는 주기적으로 상피의 융기와 상피내 혹은 아래에 조직 파편 (debris) 의 침착을 야기한다. | 이러한 유착 복합체 (attachment complex) 의 이상은 상피의 탈락을 야기한다. 표면 각막 외상은 바닥막의 손상을 야기해 정상적인 유착 복합체의 재형성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ref>Khodadoust AA et al. Adhesion of regenerating corneal epithelium. The role of basement membrane. ''AJO''. 1968 Mar;65(3):339-48. [https://pubmed.ncbi.nlm.nih.gov/5640539/ 연결]</ref><ref>Rodrigues MM et al. Disorders of the corneal epithelium.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dot, geographic, and fingerprint patterns. ''Arch Ophthalmol''. 1974 Dec;92(6):475-82. [https://pubmed.ncbi.nlm.nih.gov/4139941/ 연결]</ref>. 기능을 못하는 유착 복합체는 주기적으로 상피의 융기와 상피내 혹은 아래에 조직 파편 (debris) 의 침착을 야기한다<ref>Ramamurthi S et al. Pathogenesis,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RCE. Eye (Lond). 2006 Jun;20(6):635-44. [https://pubmed.ncbi.nlm.nih.gov/16021185/ 연결]</ref>. [[상피 바닥막 이상증]]은 비정상적인 바닥막과 결합조직 물질을 생성해 상피의 유착을 방해하기도 한다. | ||
수면 중 눈꺼풀이 닫힌 상태에서는 눈물 증발이 | 수면 중 눈꺼풀이 닫힌 상태에서는 눈물 증발이 줄어들기 때문에 눈물은 저장성으로 변하고 삼투압 차로 인한 물의 이동으로 상피 부종이 생겨 결과적으로 상피의 부착력이 약해진다.5 야간 수면 중에는 눈물 | ||
층이 얇아져 눈꺼풀이 각막에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아침 기상 시 발생하는 눈꺼풀의 움직임이나 급속 눈운동 수면 (REM sleep) 은 상피세포의 탈락을 유발할 수 있으며<ref>Bernauer W et al. PTK in RCE refractory to other forms of treatment. ''Eye (Lond)''. 1996;10 ( Pt 5):561-4. [https://pubmed.ncbi.nlm.nih.gov/8977782/ 연결]</ref>, 이른 아침 REM 수면 중 일어나는 홱보기 (saccades) 는 [[각막 이상증]]이나 미세 외상이 있는 경우 상피 손상을 악화시킨다고 생각된다<ref>Hoffmann F et al. REM-Schlaf und rezidivierende Erosio cornae - eine Hypothese [REM sleep and recurrent corneal erosion - a hypothesis]. ''Klin Monbl Augenheilkd''. 2003 Jan-Feb;220(1-2):51-3. German. [https://pubmed.ncbi.nlm.nih.gov/12678005/ 연결]</ref>. 각막 노출 혹은 야간 수면 중 눈이 떠지는 경우 (nocturnal lagophthalmos) 역시 RCE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ref>Sturrock GD. Nocturnal lagophthalmos and recurrent erosion. ''BJO''. 1976 Feb;60(2):97-103. [https://pubmed.ncbi.nlm.nih.gov/1268178/ 연결]</ref>. | |||
층이 얇아져 눈꺼풀이 각막에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아침 | |||
기상 시 발생하는 눈꺼풀의 움직임이나 | |||
유발할 수 | |||
경우 | |||
기 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etalloproteinase; MMP 같은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들은 각막상피 유착복 | 기 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etalloproteinase; MMP 같은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들은 각막상피 유착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