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각막 짓무름: 두 판 사이의 차이

48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6월 27일 (목)
잔글
잔글 (→‎병인)
잔글 (→‎병인)
9번째 줄: 9번째 줄:
층이 얇아져 눈꺼풀이 각막에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아침 기상 시 발생하는 눈꺼풀의 움직임이나 급속 눈운동 수면 (REM sleep) 은 상피세포의 탈락을 유발할 수 있으며<ref>Bernauer W et al. PTK in RCE refractory to other forms of treatment. ''Eye (Lond)''. 1996;10 ( Pt 5):561-4. [https://pubmed.ncbi.nlm.nih.gov/8977782/ 연결]</ref>, 이른 아침 REM 수면 중 일어나는 홱보기 (saccades) 는 [[각막 이상증]]이나 미세 외상이 있는 경우 상피 손상을 악화시킨다고 생각된다<ref>Hoffmann F et al. REM-Schlaf und rezidivierende Erosio cornae - eine Hypothese [REM sleep and recurrent corneal erosion - a hypothesis]. ''Klin Monbl Augenheilkd''. 2003 Jan-Feb;220(1-2):51-3. German. [https://pubmed.ncbi.nlm.nih.gov/12678005/ 연결]</ref>.  각막 노출 혹은 야간 수면 중 눈이 떠지는 경우 (nocturnal lagoph­thalmos) 역시 RCE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ref>Sturrock GD. Nocturnal lagophthalmos and recurrent erosion. ''BJO''. 1976 Feb;60(2):97-103. [https://pubmed.ncbi.nlm.nih.gov/1268178/ 연결]</ref>.
층이 얇아져 눈꺼풀이 각막에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아침 기상 시 발생하는 눈꺼풀의 움직임이나 급속 눈운동 수면 (REM sleep) 은 상피세포의 탈락을 유발할 수 있으며<ref>Bernauer W et al. PTK in RCE refractory to other forms of treatment. ''Eye (Lond)''. 1996;10 ( Pt 5):561-4. [https://pubmed.ncbi.nlm.nih.gov/8977782/ 연결]</ref>, 이른 아침 REM 수면 중 일어나는 홱보기 (saccades) 는 [[각막 이상증]]이나 미세 외상이 있는 경우 상피 손상을 악화시킨다고 생각된다<ref>Hoffmann F et al. REM-Schlaf und rezidivierende Erosio cornae - eine Hypothese [REM sleep and recurrent corneal erosion - a hypothesis]. ''Klin Monbl Augenheilkd''. 2003 Jan-Feb;220(1-2):51-3. German. [https://pubmed.ncbi.nlm.nih.gov/12678005/ 연결]</ref>.  각막 노출 혹은 야간 수면 중 눈이 떠지는 경우 (nocturnal lagoph­thalmos) 역시 RCE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ref>Sturrock GD. Nocturnal lagophthalmos and recurrent erosion. ''BJO''. 1976 Feb;60(2):97-103. [https://pubmed.ncbi.nlm.nih.gov/1268178/ 연결]</ref>.


기 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etalloproteinase; MMP 같은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들은 각막상피 유착복
[[MMP|기질 금속단백 분해효소]] (metalloproteinase; MMP) 같은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들은 상피 유착 복합체를 분해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다. MMP-2와 MMP-9으로 구성된 젤라틴 분해효소 (gelatinase) 는 바닥막의 주요 구성 요소인 4, 7형 아교질과 라미닌을 분해하며, 외상성 각막 찰과상과 RCE를 경험한 환자의 이환된 눈과 반대안에서 채취한 눈물 중에 포함된 MMP-2와 MMP-9의 농도가 대조안에 비해 높아져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14 MMP의 증가는 바닥막을 붕괴하며 상피바닥막의 부착을 방해할 수 있다. Hope 등15은 치료가 어려운 RCE 환자 전원에게 마이봄샘기능장애가 있으며 마이봄샘의 위축과 소실,눈  
합체를 분해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다. MMP-2
MMP-9으로 구성된 젤라틴분해효소ge/此mzse는 바
닥막의 주요 구성요소인 4형 및 7형 아교질과 라미닌을  
분해하며,외상성 각막찰과상과 반복각막짓무름을 경
험한 환자의 이환된 눈과 반대안에서 채취한 눈물 중에  
포함된 MMP-2와 MMP-9의 농도가 대조안에 비해
아져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14 MMP의 증가는 바닥막을  
붕괴하며 상피바닥막의 부착을 방해할 수 있다. Hope  
등15은 치료가 어려운 반복각막짓무름 환자 전원에게
이봄샘기능장애가 있으며 마이봄샘의 위축과 소실,눈  
물막파괴시간 감소,눈물층내 조직파편들을 관찰할 수  
물막파괴시간 감소,눈물층내 조직파편들을 관찰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있다고 보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