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효과)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 |} | ||
== 효과 == | == 효과 == | ||
1%와 2% carteolol은 각각 23%, 26%의 안압 하강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안압 하강 효과는 | 1%와 2% carteolol은 각각 23%, 26%의 안압 하강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안압 하강 효과는 [[티몰롤]]과 유사하지만 점안 직후 생기는 자극감은 티몰롤 보다 적게 나타난다<ref>Negishi C et al. [Effects of BB agent carteolol on healthy volunteers and glaucoma patients (author's transl)]. ''Nippon Ganka Gakkai Zasshi''. 1981 Jan;85(1):57-66. Japanese. [https://pubmed.ncbi.nlm.nih.gov/6114632/ 연결]</ref>. | ||
== 장점 == | == 장점 == | ||
심혈관계 부작용이 적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러한 작용은 약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박동수나 혈압에 미치는 영향은 미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비록 이러한 작용이 심혈관계 부작용을 막지는 못하지만 콜레스테롤 이상과 관련된 심혈관계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고가 있으며 [[티몰롤]]과 비교한 연구에서 고밀도 지방 단백 (HDL) 을 더 적게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다<ref>Freedman SF et al. Effects of ocular carteolol and timolol on plasma HDL cholesterol level. ''AJO''. 1993 Nov 15;116(5):600-11. [https://pubmed.ncbi.nlm.nih.gov/8238221/ 연결]</ref>. | 심혈관계 부작용이 적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러한 작용은 약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박동수나 혈압에 미치는 영향은 미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비록 이러한 작용이 심혈관계 부작용을 막지는 못하지만 콜레스테롤 이상과 관련된 심혈관계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고가 있으며 [[티몰롤]]과 비교한 연구에서 고밀도 지방 단백 (HDL) 을 더 적게 감소시킨다는 보고가 있다<ref>Freedman SF et al. Effects of ocular carteolol and timolol on plasma HDL cholesterol level. ''AJO''. 1993 Nov 15;116(5):600-11. [https://pubmed.ncbi.nlm.nih.gov/8238221/ 연결]</ref>. | ||
{{참고}} | {{참고}} | ||
{{녹내장_안약}} | {{녹내장_안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