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각막 짓무름: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7월 8일 (월)
잔글
29번째 줄: 29번째 줄:
질환의 발생 패턴, 강도, 이환 기간이 매우 다양해 질환 발생 후 안과에 내원하기도 전 몇 시간 동안 재상피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상피 결손이 완전히 치유되지 않은 상태에서 눈깜박임이 각막 표면의 느슨한 상피를 자극해 환자가 지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ref name=r13 />. 검사에서 상피 결손이 없어도 환자는 통증을 느낄 수 있고, 느슨해진 상피가 통증을 유발하지만 검사에서 놓치는 경우도 있다.
질환의 발생 패턴, 강도, 이환 기간이 매우 다양해 질환 발생 후 안과에 내원하기도 전 몇 시간 동안 재상피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상피 결손이 완전히 치유되지 않은 상태에서 눈깜박임이 각막 표면의 느슨한 상피를 자극해 환자가 지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ref name=r13 />. 검사에서 상피 결손이 없어도 환자는 통증을 느낄 수 있고, 느슨해진 상피가 통증을 유발하지만 검사에서 놓치는 경우도 있다.


제대로 치료받지 않으면 지속되는 상피 결손으로 인한 안구 표면 방어막 소실 때문에 세균 각막염 같은 후유증이 발생하기도 한다<ref>Pham-Vang S et al. RCE causing bacterial keratitis. ''Optometry''. 2008 Sep;79(9):505-11. [https://pubmed.ncbi.nlm.nih.gov/18722962/ 연결]</ref>. 장기간 동안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반복되는 짓무름으로 인해 기질이 손상되고 섬유화와 함께 시력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시력 감소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언제 증상이  나타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환자에게 불안감이나 우울증을 야기하기도 한다,특히 사회 활동이 왕성한 환자가 수 시간에서 수일 동안 통증과 함께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은 매우 큰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재발에 대한 두려움으로 불면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일부 환자는 아침에 잠에서 깨면서 눈을 먼저 뜨지 않고 눈을 감은 채로 눈을 먼저 움직이는 등 질환에 적응하기도 한다.
제대로 치료받지 않으면 지속되는 상피 결손으로 인한 안구 표면 방어막 소실 때문에 세균 각막염 같은 후유증이 발생하기도 한다<ref>Pham-Vang S et al. RCE causing bacterial keratitis. ''Optometry''. 2008 Sep;79(9):505-11. [https://pubmed.ncbi.nlm.nih.gov/18722962/ 연결]</ref>. 장기간 동안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반복되는 짓무름으로 인해 기질이 손상되고 섬유화와 함께 시력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시력 감소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언제 증상이  나타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환자에게 불안감이나 우울증을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사회 활동이 왕성한 환자가 수 시간에서 수일 동안 통증과 함께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은 매우 큰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반복되는 재발에 대한 두려움으로 불면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일부 환자는 아침에 잠에서 깨면서 눈을 먼저 뜨지 않고 눈을 감은 채로 눈을 먼저 움직이는 등 질환에 적응하기도 한다.


== 진단 ==
==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