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안압 황반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565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17일 (화)
잔글
(새 문서: 저안압 황반병증 (hypotony maculopathy) 은 1954년 Dellaporta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된 질환으로 대부분 5mmHg 이하에서 증상이 나타나지만 8~10 mmHg의...)
 
11번째 줄: 11번째 줄:
* FA : 망막맥락막 주름의 능선에 보이는 과형광 소견과 골짜기에 보이는 저형광의 줄무늬 소견들이 좀 더 특징적으로 관찰될 수 있으며 간혹 시신경 모세혈관에서 누출되는 형광이 관찰된다.
* FA : 망막맥락막 주름의 능선에 보이는 과형광 소견과 골짜기에 보이는 저형광의 줄무늬 소견들이 좀 더 특징적으로 관찰될 수 있으며 간혹 시신경 모세혈관에서 누출되는 형광이 관찰된다.
* ICGA : 다발성으로 저형광의 점들이 관찰될 수 있으며 맥락막의 한 부분이 저형광으로 보일 수 있다. 전체적으로 맥락막의 혈관들이 확장되어 있거나 구불해지는 양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 ICGA : 다발성으로 저형광의 점들이 관찰될 수 있으며 맥락막의 한 부분이 저형광으로 보일 수 있다. 전체적으로 맥락막의 혈관들이 확장되어 있거나 구불해지는 양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 B-scan : 후극부의 공막과 맥락막의 두꺼워짐과 편평함이
* B-scan : 후극부의 공막과 맥락막의 두꺼워짐과 편평함이 관찰되며 초음파상으로 망막맥락막의 주름은 관찰하기 어렵다. 맥락막의 박리나 맥락막 상강 출혈과 같은 질환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초음파 생체 현미경]] : 전방의 깊이나 모양체의 위치, 앞쪽 모양체의 박리 유무 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며 원인 중 하나인 섬모체해리 틈새를 찾아낼 수 있다.
* OCT : 미세한 망막의 주름과 황반하 삼출물, 혹은 망막내 공포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어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망막, 맥락막내 주름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질환들을 감별해야 하며 환자의 병력과 안압, 수술 병력 등을 통하여 비교적 쉽게 감별할 수 있다. [[저안압]]이 동반되지 않는 특발성의 망맥락막의 주름은 주로 원시인 경우 발생될 수 있으며 안구 후부 내 종앙에 의한 주름, 그리고 공막의 염증, 공막 돌륭술, 맥락막 종양, 맥락막 신생혈관, 국소적 망맥락막 반흔, 시신경 유두 이상 등에 의해서도 망맥락막 내 주름이 빌생할 수 있어 감별해야 한다.
망막, 맥락막내 주름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질환들을 감별해야 하며 환자의 병력과 안압, 수술 병력 등을 통하여 비교적 쉽게 감별할 수 있다. [[저안압]]이 동반되지 않는 특발성의 망맥락막의 주름은 주로 원시인 경우 발생될 수 있으며 안구 후부 내 종앙에 의한 주름, 그리고 공막의 염증, 공막 돌륭술, 맥락막 종양, 맥락막 신생혈관, 국소적 망맥락막 반흔, 시신경 유두 이상 등에 의해서도 망맥락막 내 주름이 빌생할 수 있어 감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