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시술 전 준비) |
잔글 (→시술 전)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시술 전 === | === 시술 전 === | ||
통상적으로 점안 마취 후 세극등 하에서 시행한다.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시술 전 예방적 항생제를 점안하며, 형광 염색은 시술 중 치료 범위를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통상적으로 점안 마취 후 세극등 하에서 시행한다.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시술 전 예방적 항생제를 점안하며, 형광 염색은 시술 중 치료 범위를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
=== 시술 === | |||
눈벌리개를 거치하고 구 | |||
부린 23 혹은 25게이지의 주삿바늘로 각막에 부분천자 | |||
(각막기질의 약 10-20% 깊이 혹은 0.1mm)를 시행한다. 굵 | |||
은 주삿바늘은 구부리기 힘들고 30게이지 주삿바늘은 | |||
제어하기 힘들다.36 곧은 주삿바늘을 사용할 수도 있으 | |||
나 각막천공의 위험성이 증가한다.35 끝 부근의 사면을 | |||
구부린 짧은(5/8인치) 주삿바늘을 ImL 주사기에 장착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다.36 구부러 | |||
진 바늘 끝은 천공을 시행하는 동안 각막면과 수직이 되 | |||
게 유지한다. 각각의 천공은 0.5~1.0mm 간격으로 가까 | |||
이 위치해야 하나 서로 맞닿아서는 안 되며,짓무름 경 | |||
계 밖 1〜2mm까지 시행한다. 느슨한 각막상피는 때때 | |||
로 역반사조명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보통 세극등현미경 | |||
에서 보이는 짓무름의 경계보다 넓기 때문에 치료 범위 | |||
에 정상으로 보이는 각막도 포함해야 한다. 표준화된 주 | |||
삿바늘로 동공 부위에 시술한다 하더라도 객관적,주관 | |||
적 눈부심검사에서 이상이 보고되지는 않았지만37 동공 | |||
부위의 치료는 가급적 최소화해야 한다. | |||
== 시술 방법 == | == 시술 방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