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중심외 주시) |
잔글 (→중심외 주시)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중심외 주시 == | == 중심외 주시 == | ||
비쥬스코프 (visuscope) 가 개발되면서 약시에서 중심외 주시가 흔히 나타나는 것이 알려졌으며, 이 경우 2세 이상에서 반대눈을 가리면 약시안의 비정상 주시로 인해 중심외 주시가 더 악화될 수 있으므로 비정상 주시를 없애기 위해 약시안을 먼저 가려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반대가림, inverse occlusion).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는 중심외 주시가 있는 약시의 경우에도 기존의 우세안 가림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 (특히 나이가 어린 경우) 이며, 반대 가림으로 비정상 주시를 정상화시킬 수 없고 약시를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ref>Parks MM et al. Treatment of eccentric fixation in children under 4yo. ''AJO''. 1966 Mar;61(3):395-9. [https://pubmed.ncbi.nlm.nih.gov/5908980/ 연결]</ref><ref>Von Noordeng. Occlusion Thterapy in Amblyopia w Eccentric Fixation. ''Arch Ophthalmol''. 1965 Jun;73:776-81. [https://pubmed.ncbi.nlm.nih.gov/14302508/ 연결]</ref>. von Noorden<ref>von Noorden GK. Treatment of amblyopia and surgical outcome. ''JPOS''. 1998 Jan-Feb;35(1):5-6. [https://pubmed.ncbi.nlm.nih.gov/9503306/ 연결]</ref>은 중심외 주시가 있을 때 5세 이상 에서만 우세안 가림 치료를 하기 전에 며칠 동안 반대 가림을 하며 4세 이상에서 중심외 주시가 있을 때는 약시 치료 예후가 불량하다고 하였다. 약시 발생의 민감기 개념이 널리 받아들여진 이후 과거보다 어린 나이에 약시를 진단하고 치료하게 되면서 중심외 주시가 있는 약시는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ref name=r14>von Noorden G. Examination of the Patient IV : Amblyopia. In: von Noorden G, Campos E, eds.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St Louis: Mosby, 2002:246-297.</ref>. 나이가 어린 환자에서 중심 주시와 중심외 주시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약시가 진단되면 우세안 가림으로 치료를 시작한다<ref name=r14 />. | 비쥬스코프 (visuscope) 가 개발되면서 약시에서 중심외 주시가 흔히 나타나는 것이 알려졌으며, 이 경우 2세 이상에서 반대눈을 가리면 약시안의 비정상 주시로 인해 중심외 주시가 더 악화될 수 있으므로 비정상 주시를 없애기 위해 약시안을 먼저 가려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반대가림, inverse occlusion).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는 중심외 주시가 있는 약시의 경우에도 기존의 우세안 가림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 (특히 나이가 어린 경우) 이며, 반대 가림으로 비정상 주시를 정상화시킬 수 없고 약시를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ref>Parks MM et al. Treatment of eccentric fixation in children under 4yo. ''AJO''. 1966 Mar;61(3):395-9. [https://pubmed.ncbi.nlm.nih.gov/5908980/ 연결]</ref><ref>Von Noordeng. Occlusion Thterapy in Amblyopia w Eccentric Fixation. ''Arch Ophthalmol''. 1965 Jun;73:776-81. [https://pubmed.ncbi.nlm.nih.gov/14302508/ 연결]</ref>. von Noorden<ref>von Noorden GK. Treatment of amblyopia and surgical outcome. ''JPOS''. 1998 Jan-Feb;35(1):5-6. [https://pubmed.ncbi.nlm.nih.gov/9503306/ 연결]</ref>은 중심외 주시가 있을 때 5세 이상 에서만 우세안 가림 치료를 하기 전에 며칠 동안 반대 가림을 하며 4세 이상에서 중심외 주시가 있을 때는 약시 치료 예후가 불량하다고 하였다. 약시 발생의 민감기 개념이 널리 받아들여진 이후 과거보다 어린 나이에 약시를 진단하고 치료하게 되면서 중심외 주시가 있는 약시는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ref name=r14>von Noorden G. Examination of the Patient IV : Amblyopia. In: von Noorden G, Campos E, eds.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St Louis: Mosby, 2002:246-297.</ref>. 나이가 어린 환자에서 중심 주시와 중심외 주시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약시가 진단되면 우세안 가림으로 치료를 시작한다<ref name=r14 />. | ||
== 기질 약시 == | |||
상당 기간 적절한 약시 치료에도 불구하고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시력이 일부만 개선된다면 기질 약시를 의심할 수 있다. 소아의 경우 눈에 기질적인 이상이 있는 경우라도 가역적인 기능이상 약시가 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일단 약시 치료를 해야 하며 가림 치료로 시력이 개선될 수도 있다<ref>Kushner BJ. Successful treatment of functional amblyopia a/w juvenile glaucoma.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88;226(2):150-3. [https://pubmed.ncbi.nlm.nih.gov/3360343/ 연결]</ref>.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