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림 치료: 두 판 사이의 차이

2,20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13일 (토)
잔글
22번째 줄: 22번째 줄:
== 기질 약시 ==
== 기질 약시 ==
상당 기간 적절한 약시 치료에도 불구하고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시력이 일부만 개선된다면 기질 약시를 의심할 수 있다. 소아의 경우 눈에 기질적인 이상이 있는 경우라도 가역적인 기능이상 약시가 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일단 약시 치료를 해야 하며 가림 치료로 시력이 개선될 수도 있다<ref>Kushner BJ. Successful treatment of functional amblyopia a/w juvenile glaucoma.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88;226(2):150-3. [https://pubmed.ncbi.nlm.nih.gov/3360343/ 연결]</ref>.
상당 기간 적절한 약시 치료에도 불구하고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시력이 일부만 개선된다면 기질 약시를 의심할 수 있다. 소아의 경우 눈에 기질적인 이상이 있는 경우라도 가역적인 기능이상 약시가 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일단 약시 치료를 해야 하며 가림 치료로 시력이 개선될 수도 있다<ref>Kushner BJ. Successful treatment of functional amblyopia a/w juvenile glaucoma.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88;226(2):150-3. [https://pubmed.ncbi.nlm.nih.gov/3360343/ 연결]</ref>.
== 가림과 수술 시기 ==
약시환자는 사시수술 후 결과가 좋지 않을 위험
성이 높아서,56 약시치료가 완전히 끝난 후에 사시
수술을 하는 소아안과의사들이 많다. 영아내사시
에서는 약시치료가 수술보다 선행되는 것이 원칙
인데,63 그 이유는 첫째,약시 치료시기가 빠를수
록 치료기간이 짧아지고 결과도 양호하기 때문이
다. 이때 수술을 먼저 하면 약시치료를 지연시키고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둘째,가림원인약시를
예방하기 위해서 두 눈의 시력차이를 관찰하는 것
이 중요한데 영아나 아주 어 린 아이에서 내사시 수
술 후 미세사시가 되면 이를 발견하기 힘들다. 셋
째,수술 후 눈이 정렬되면 보호자는 모든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생각하고 약시치료에 소홀해지기 쉽
다. 마지막으로 두 눈의 시력이 서로 비슷해야 안
정된 융합에 유리한데,한 눈이 약시라면 수술 후
미세사시 또는 정상 이하의 양안시 상태에서 융합
을 유지하기가 상대적으로 힘들기 때문이다. 특
히 중등도 약시를 가진 영아내사시에서 수술할 경
우 성공률이 낮고,2ᄋ 부분조절내사시 에서 가림치료
후 사시각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므로34 약시치료
를 먼저 하고 수술하는 것이 좋다는 보고가 있다.
반면,약시치료를 완전히 끝낸 후에 수술하는 것
은 눈의 정렬이상에 따른 비정상 양안시기간이 길
어져서 수술 후 양안시 예후에 불리할 수 있으므로
먼저 수술하고 수술 후에 약시치료를 계속0노 것
이 좋다는 의견도 있으나,3b 수술 시 나이와사시=
있었던 기간 등 여러 요인이 관여알 수 있어서 확
실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 드물게 중심외주시트
하는 심한 약시안이 사시수술 후 시력이 개선되는
경우가 있어서,나이 든 소아에서 내사시각이 크면
서 심한 약시와 중심외주시가 있을 때 가림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수술을 먼저 시행하기도 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