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치료 기간) |
잔글 (→단점)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단점 == | == 단점 == | ||
피부의 상처나 알레르기와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유치원이나 학동기 환아에서는 미용적으로 문제가 되어 치료를 거부하기도 한다<ref>Oliver M et al. Compliance and results of treatment for amblyopia in children more than 8 yo. ''AJO''. 1986 Sep 15;102(3):340-5. [https://pubmed.ncbi.nlm.nih.gov/3752199/ 연결]</ref><ref>Searle A et al. Psychosocial and clinical determinants of compliance w occlusion therapy for amblyopic children. ''Eye (Lond)''. 2002 Mar;16(2):150-5. [https://pubmed.ncbi.nlm.nih.gov/11988815/ 연결]</ref>. | 피부의 상처나 알레르기와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유치원이나 학동기 환아에서는 미용적으로 문제가 되어 치료를 거부하기도 한다<ref>Oliver M et al. Compliance and results of treatment for amblyopia in children more than 8 yo. ''AJO''. 1986 Sep 15;102(3):340-5. [https://pubmed.ncbi.nlm.nih.gov/3752199/ 연결]</ref><ref>Searle A et al. Psychosocial and clinical determinants of compliance w occlusion therapy for amblyopic children. ''Eye (Lond)''. 2002 Mar;16(2):150-5. [https://pubmed.ncbi.nlm.nih.gov/11988815/ 연결]</ref>. | ||
=== 가림 원인 약시 (occlusion amblyopia) === | |||
가림 치료 도중에 오히려 우세안의 시력이 감소하는 것을 가림 원인 약시라고 하며, 가장 심한 부작용으로 [[시각 차단 약시]]의 한 종류이다. 빈도는 4~25%로 저자에 따라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 |||
약시치료가 시작되면 정기적인 관찰이 필수적이며, 약시안의 시력 개선 여부를 확인하여 치료 계획을 조정하고 우세안의 시력이 저하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한다. 대부분 가림 치료를 중지하면 쉽게 회복되지만 늦게 발견되면 회복이 안되는 수도 있어 주기적으로 시력을 검사하고 주시 형태를 관찰하여 빨리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 |||
가림 원인 약시는 나이가 어릴수록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시력측정이 어려운 어린 소아에서 주시 형태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5세 이전에는 가림 원인 약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중심외 주시가 동반될 수도 있다<ref>Burian HM. Occlusion amblyopia and the development of eccentric fixation in occluded eyes. ''AJO''. 1966 Nov;62(5):853-6. [https://pubmed.ncbi.nlm.nih.gov/5928834/ 연결]</ref>. 가림 원인 약시가 발생할 수 있는 감수성은 대체로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여 약 12세경이면 거의 없어진다고 하였다<ref>Epelbaum M et al. The sensitive period for strabismic amblyopia in humans. ''Ophthalmology''. 1993 Mar;100(3):323-7. [https://pubmed.ncbi.nlm.nih.gov/8460000/ 연결]</ref>. | |||
가림 원인약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세안과 약시안을 일정한 비로 교대로 가려주는 것이 두 눈을 동시에 열어주는 것보다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있는데,65 약시안을 가려주는 것이 두 눈으로 볼 때만 나타나는 우세안의 약시안에 대한 억제 자극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종일가림을 하면서 1세에서는 3일간 우세안을 가리고 하루는 약시안을 가려주고, 2세에서는 4:1의 비로,65 3~4세 이상에서는 그 이상의 비로 최대 6:1까지 가려주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도 약시안의 시력 개선이 없으면 우세안 가림을 연장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시력이나 주시 형태를 잘 확인하면서 경과 관찰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교대 가림은 부분 가림을 하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
경과 관찰은 나이가 어릴수록, 하루 중 많은 시간을 가릴수록 자주 하는 것이 원칙이다. 한편, 가림 원인 약시가 조기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약시안에 변화 여지가 있어 회복 가능성이 높다는 좋은 징후일 수 있다. | |||
== 치료 기간 == | == 치료 기간 == | ||
가림 치료 기간은 약시 정도, 종류, 기간과 치료 시작 연령 등에 따라 다르다. 치료가 성공적이라면 처음 어느 정도까지는 빠르게 좋아지지만 그 이후는 회복 속도가 늦다. 초기 시력 이 아주 낮을 때에는 대개 치료기간이 길고, 약시 기간이 짧거나 치료시 연령이 빠를수록 치료 기간을 줄일 수 있다. 또 굴절부등 약시는 안경 교정으로 시력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고 다른 약시에 비해 예후가 좋다는 보고가 있지만, 사시 약시, 굴절부등 약시, 또는 둘 모두가 같이 있는 경우 모두 치료 효과에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다<ref name=r10>Stewart CE et al. Treatment dose-response in amblyopia therapy : the Monitored Occlusion Treatment of Amblyopia Study (MOTAS). ''IOVS''. 2004 Sep;45(9):3048-54. [https://pubmed.ncbi.nlm.nih.gov/15326120/ 연결]</ref>. 가림 치료는 약시안 시력이 우세안 시력과 같아질 때까지 계속한다. 협조가 잘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3개월 이상 시력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가림 시간을 늘리거나 다른 방법을 사용해볼 수 있다 | 가림 치료 기간은 약시 정도, 종류, 기간과 치료 시작 연령 등에 따라 다르다. 치료가 성공적이라면 처음 어느 정도까지는 빠르게 좋아지지만 그 이후는 회복 속도가 늦다. 초기 시력 이 아주 낮을 때에는 대개 치료기간이 길고, 약시 기간이 짧거나 치료시 연령이 빠를수록 치료 기간을 줄일 수 있다. 또 굴절부등 약시는 안경 교정으로 시력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고 다른 약시에 비해 예후가 좋다는 보고가 있지만, 사시 약시, 굴절부등 약시, 또는 둘 모두가 같이 있는 경우 모두 치료 효과에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다<ref name=r10>Stewart CE et al. Treatment dose-response in amblyopia therapy : the Monitored Occlusion Treatment of Amblyopia Study (MOTAS). ''IOVS''. 2004 Sep;45(9):3048-54. [https://pubmed.ncbi.nlm.nih.gov/15326120/ 연결]</ref>. 가림 치료는 약시안 시력이 우세안 시력과 같아질 때까지 계속한다. 협조가 잘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3개월 이상 시력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가림 시간을 늘리거나 다른 방법을 사용해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