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 기능 장애: 두 판 사이의 차이

13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8월 12일 (월)
잔글
잔글 (→‎병인)
9번째 줄: 9번째 줄:
과도한 눈물의 증발로 인해 눈물의 삼투압 증가 및 염증의 증가로 이어지고 심한 경우 마이봄샘이 파괴될 수 있다.
과도한 눈물의 증발로 인해 눈물의 삼투압 증가 및 염증의 증가로 이어지고 심한 경우 마이봄샘이 파괴될 수 있다.
=== 미생물의 역할 ===
=== 미생물의 역할 ===
정상 눈꺼풀에서 표피 포도알균(94%), ''propionibacterium acne'' (87%), corynebacterium (64%) 이 흔히 동정된다<ref>McCulley JP et al. Bacterial aspects of chronic blephar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86;105 (Pt 3):314-8. [https://pubmed.ncbi.nlm.nih.gov/3466455/ 연결]</ref>. 이와 달리 황색 포도알균은 정상인의 불과 13%에서만 발견된다. MGD 환자와 정상인 간 배양 양성률의 빈도는 비슷하지만 뒤눈꺼풀염이 있는 환자에서 정상인 대비 증식 속도가 더 높다.4
정상 눈꺼풀에서 표피 포도알균(94%), ''propionibacterium acne'' (87%), corynebacterium (64%) 이 흔히 동정된다<ref>McCulley JP et al. Bacterial aspects of chronic blepharitis. ''Trans Ophthalmol Soc U K (1962)''. 1986;105 (Pt 3):314-8. [https://pubmed.ncbi.nlm.nih.gov/3466455/ 연결]</ref>. 이와 달리 황색 포도알균은 정상인의 불과 13%에서만 발견된다. MGD 환자와 정상인 간 배양 양성률의 빈도는 비슷하지만 뒤눈꺼풀염이 있는 환자에서 정상인 대비 증식 속도가 더 높다<ref>Groden LR et al. Lid flora in blepharitis. ''Cornea''. 1991 Jan;10(1):50-3. [https://pubmed.ncbi.nlm.nih.gov/2019106/ 연결]</ref>.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