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 기능 장애: 두 판 사이의 차이

487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8월 12일 (월)
잔글
잔글 (→‎분류)
잔글 (→‎분류)
22번째 줄: 22번째 줄:
아이라인 문신은 속눈썹선을 따라 반영구적으로 색소를 입히는 시술로, 화장을 대신할 수 있어 미용 및 간편화 목적으로 여성들 사이에서 널리 시행되어 왔다. Kojima 등<ref>Kojima T et al.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abnormalities after eyelid tattooing.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05 Jan;21(1):69-71. [https://pubmed.ncbi.nlm.nih.gov/15677957/ 연결].</ref>은 각막굴절수술을 받기 전 아이라인 문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영구적인 마이봄샘 손실과 점막-피부 경계의 변화를 최초로 보고하였고, Lee 등<ref>Lee YB et al. Eyelid Tattooing Induces MG Loss and Tear Film Instability. ''Cornea''. 2015 Jul;34(7):750-5. [https://pubmed.ncbi.nlm.nih.gov/25933400/ 연결]</ref>은 정상군에 비해 아이라인 문신군에서 [[눈물막 파괴 시간]]이 짧고, 플루오레신 각막 염색 정도가 심하고, 마이봄샘 손실이 많으며, 이러한 변화는 문신의 위치가 마이봄샘 개구부에 가까울수록 더 두드러짐을 보고하였다.
아이라인 문신은 속눈썹선을 따라 반영구적으로 색소를 입히는 시술로, 화장을 대신할 수 있어 미용 및 간편화 목적으로 여성들 사이에서 널리 시행되어 왔다. Kojima 등<ref>Kojima T et al.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abnormalities after eyelid tattooing.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05 Jan;21(1):69-71. [https://pubmed.ncbi.nlm.nih.gov/15677957/ 연결].</ref>은 각막굴절수술을 받기 전 아이라인 문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영구적인 마이봄샘 손실과 점막-피부 경계의 변화를 최초로 보고하였고, Lee 등<ref>Lee YB et al. Eyelid Tattooing Induces MG Loss and Tear Film Instability. ''Cornea''. 2015 Jul;34(7):750-5. [https://pubmed.ncbi.nlm.nih.gov/25933400/ 연결]</ref>은 정상군에 비해 아이라인 문신군에서 [[눈물막 파괴 시간]]이 짧고, 플루오레신 각막 염색 정도가 심하고, 마이봄샘 손실이 많으며, 이러한 변화는 문신의 위치가 마이봄샘 개구부에 가까울수록 더 두드러짐을 보고하였다.
== 분류 ==
== 분류 ==
과거 마이봄샘기능장애의 여러 분류법들이 제시된 바 있다. Mathers 등은 MGD 환자를 네 가지 그룹으로 구분했는데, 75 이 분류법은 눈물 삼투압, 쉬르머  검사 및 마이보그래피의 세 가지 객관적 소견을 근거로 하였다. Bron 등은 마이봄샘의 질환을 7개 그룹으로 구분했고 다양한 세극등 소견들을 바탕으로 등급법을 고안하였다.76 Foulks와 Bron은 이러한 분류법을 다양한 임상 질환들을 포함해 도식화하였다.77 2011년의 MGD 국제 워크숍 (Internatkmal Workshop on MGD) 에서는 마이봄샘의 분비 저하 및 과다 분비에 따라서 MGD의 원발성 및 이차성 원인들을 구분해 분류하였다<ref>Nichols KK et al.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MGD : executive summary. ''IOVS''. 2011 Mar 30;52(4):1922-9. [https://pubmed.ncbi.nlm.nih.gov/21450913/ 연결]</ref>.
과거 MGD의 여러 분류법들이 제시된 바 있다. Mathers 등<ref>Mathers WD et al. MGD in chronic blepharitis. ''Cornea''. 1991 Jul;10(4):277-85. [https://pubmed.ncbi.nlm.nih.gov/1889213/ 연결]</ref>은 MGD 환자를 네 가지 그룹으로 구분했는데, 이 분류법은 눈물 삼투압, 쉬르머  검사 및 마이보그래피의 세 가지 객관적 소견을 근거로 하였다. Bron 등<ref>Bron AJ et al. Meibomian gland disease. Classification and grading of lid changes. ''Eye (Lond)''. 1991;5 (Pt 4):395-411. [https://pubmed.ncbi.nlm.nih.gov/1743355/ 연결]</ref>은 마이봄샘의 질환을 7개 그룹으로 구분했고 다양한 세극등 소견들을 바탕으로 등급법을 고안하였다.  Foulks 등<ref>Foulks GN et al. MGD : a clinical scheme for description, diagnosis, classification, and grading. ''Ocul Surf''. 2003 Jul;1(3):107-26. [https://pubmed.ncbi.nlm.nih.gov/17075643/ 연결]</ref>은 이러한 분류법을 다양한 임상 질환들을 포함해 도식화하였다. 2011년의 MGD 국제 워크숍 (Internatkmal Workshop on MGD) 에서는 마이봄샘의 분비 저하 및 과다 분비에 따라서 MGD의 원발성 및 이차성 원인들을 구분해 분류하였다<ref>Nichols KK et al.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MGD : executive summary. ''IOVS''. 2011 Mar 30;52(4):1922-9. [https://pubmed.ncbi.nlm.nih.gov/21450913/ 연결]</ref>.


== 증상 ==
== 증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