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진단) |
잔글 (→진단)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진단 == | == 진단 == | ||
혈관 구조 관찰에 도움이 되는 방법은 페닐에프린을 점안하는 것이다. | 혈관 구조 관찰에 도움이 되는 방법은 페닐에프린을 점안하는 것이다. | ||
* 2.5% [[페닐에프린]] 점안 : 결막의 혈관만 | * 2.5% [[페닐에프린]] 점안 : 결막의 혈관만 수축해 아래쪽 혈관을 관찰하면 [[결막염]]과 상공막염을 감별할 수 있다. | ||
* 10% [[페닐에프린]] 점안 : 결막의 혈관 뿐만 아니라 표층 상공막 모세혈관망도 | * 10% [[페닐에프린]] 점안 : 결막의 혈관 뿐만 아니라 표층 상공막 모세혈관망도 수축되나 심층의 혈관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상공막염과 [[공막염]]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 ||
가늘고 밝은 세극등 빛을 사용하면 상공막염과 공막염의 결절을 구별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결절 상공막염에서는 빛의 내반사가 그대로 나타나지만 외반사는 명확히 | 가늘고 밝은 세극등 빛을 사용하면 상공막염과 공막염의 결절을 구별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결절 상공막염에서는 빛의 내반사가 그대로 나타나지만 외반사는 명확히 앞쪽으로 이동되는 반면, 결절 [[공막염]]에서는 두 가지 광선이 모두 앞쪽으로 이동된다.<br /> 상공막염이 명백한 원인 질환 없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전신적인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특히 아교질 혈관 질환, 염증 질환, 혈관 질환, 아토피 등을 염두에 두고 선별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재발 상공막염에 시행해야 하는 기초 검사 | !재발 상공막염에 시행해야 하는 기초 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