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7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8월 14일 (수)
잔글
잔글 (→‎치료)
잔글 (→‎치료)
55번째 줄: 55번째 줄:
* 냉찜질, 차가운 인공 눈물 : 보조적인 치료 방법으로 큰 위험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위약 효과와 함께 윤활 작용 및 혈관 수축 작용을 통해 환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
* 냉찜질, 차가운 인공 눈물 : 보조적인 치료 방법으로 큰 위험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위약 효과와 함께 윤활 작용 및 혈관 수축 작용을 통해 환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
* <span style='color:blue;'>국소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pan> : flubiprofen과 ketorolac 점안약이 상공막의 염증 제거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안구 혈관 축소 안약들도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고 일시적 혈관 수축에 도움이 된다.
* <span style='color:blue;'>국소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pan> : flubiprofen과 ketorolac 점안약이 상공막의 염증 제거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안구 혈관 축소 안약들도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고 일시적 혈관 수축에 도움이 된다.
* <span style='color:blue;'>국소 스테로이드 점안</span> : 스테로이드가 병의 증상 및 징후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개선시키지만, 상공막염은 비교적 병의 경과가 짧은 양성 질환이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ref>Buckley RJ. Atopic disease of the cornea. In : Cavanagh HD, ed. The Cornea : Transactions of the World Congres of the Cornea III, New York: Raven; 1988.</ref><ref>Watson PG et al. Treatment of episcleritis. A double-blind trial comparing betamethasone 0.1%, oxyphenbutazone 10%, and placebo eye ointments. ''BJO''. 1973 Nov;57(11):866-70. [https://pubmed.ncbi.nlm.nih.gov/4594316/ 연결]</ref>. Foster와 Sainz de la Maza는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병의 재발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더 심한 상공막염을 발생시키는 반동 효과를 우려하여 상공막염에서 국소 스테로이드 사용을 금기시했으며, NSAID를 권장했다. 반면 Jab 등은 처음에 염증이 자연적으로 줄어드는지 관찰한 후에 국소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0.1% fluorometholone을 하루에 네 번 점안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효과가 없는 경우 1% prednisolone acetate를 사용한다. 증상과 징후가 개선되면 빠르게 스테로이드 점안을 줄여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반복되는 환자의 경우는 여전히 약간의 위험이 있다.
* <span style='color:blue;'>국소 스테로이드 점안</span> : 스테로이드가 병의 증상 및 징후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개선시키지만, 상공막염은 비교적 병의 경과가 짧은 양성 질환이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ref>Buckley RJ. Atopic disease of the cornea. In : Cavanagh HD, ed. The Cornea : Transactions of the World Congres of the Cornea III, New York: Raven; 1988.</ref><ref>Watson PG et al. Treatment of episcleritis. A double-blind trial comparing betamethasone 0.1%, oxyphenbutazone 10%, and placebo eye ointments. ''BJO''. 1973 Nov;57(11):866-70. [https://pubmed.ncbi.nlm.nih.gov/4594316/ 연결]</ref>. Foster와 Sainz de la Maza는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병의 재발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더 심한 상공막염을 발생시키는 반동 효과를 우려하여 상공막염에서 국소 스테로이드 사용을 금기시했으며, NSAID를 권장했다. 반면 Jab 등은 처음에 염증이 자연적으로 줄어드는지 관찰한 후에 국소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0.1% fluorometholone을 하루에 네 번 점안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효과가 없는 경우 1% prednisolone acetate를 사용한다. 증상과 징후가 개선되면 빠르게 스테로이드 점안을 줄여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반복되는 환자에서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전신 NSAID :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스테로이드 사용을 원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 투여할 수 있다. 보통 indomethacin이나 flubiprofen이 효과가 있다. 사용 후 증상과 징후가 사라지면 바로 약을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과, 적어도 6개월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절충안으로 증상 호전 시 약의 용량을 줄이면서 완전히 염증이 소실될 때까지 낮은 용량을 유지하다가 신속하게 끊는 방법이 있다.
* 전신 NSAID :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스테로이드 사용을 원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 투여할 수 있다. 보통 indomethacin이나 flubiprofen이 효과가 있다. 사용 후 증상과 징후가 사라지면 바로 약을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과, 적어도 6개월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절충안으로 증상 호전 시 약의 용량을 줄이면서 완전히 염증이 소실될 때까지 낮은 용량을 유지하다가 신속하게 끊는 방법이 있다.
* 국소 tacrolimus : 국소 스테로이드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다.
* 국소 tacrolimus : 국소 스테로이드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