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 두 판 사이의 차이

1,24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8월 16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마이봄 (meibum)</b> 은 마이봄샘의 분비물로, 주로 중성 스테롤과 왁스 에스테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성 지질, diester, triester, 유리 지방...)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마이봄 (meibum)</b> 마이봄샘의 분비물로, 주로 중성 스테롤과 왁스 에스테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성 지질, diester, triester, 유리 지방산, 유리 스테롤 역시 약간 포함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마이봄샘 기능 장애 환자에는 콜레스테롤 에스테르가 항상 존재한다. 반면 정상인의 경우 절반은 존재하지 않고 나머지 절반에는 존재한다.{{br}}정밀 분광기로 측정하면 정상인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마이봄 (meibum)'''{{각막}} 마이봄샘 (MG) 의 분비물이다.
{{참고|각막}}
== 성분 ==
마이봄샘 분비물은 대개 중성 스테롤과 왁스 에스터 (wax ester) 가 차지하며, 이외에도 극성 지질, 다이에스터 (diester), 트리에스터 (triester), 중성 지방, 유리 지방산, 유리 스테롤들로 구성된다<ref>Nicolaides N et al. MG studies : comparison of steer and human lipids. ''IOVS''. 1981 Apr;20(4):522-36. [https://pubmed.ncbi.nlm.nih.gov/7194326/ 연결]</ref>.
 
[[마이봄샘 기능 장애]] (MGD) 환자에서는 MG 분비물의 구성 성분들이 정상 대조군 대비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ref>Shine WE et al. Role of wax ester fatty alcohols in chronic blepharitis. ''IOVS''. 1993 Dec;34(13):3515-21. [https://pubmed.ncbi.nlm.nih.gov/8258508/ 연결]</ref><ref>Dougherty JM et al. Analysis of the free fatty acid component of meibomian secretions in chronic blepharitis. ''IOVS''. 1986 Jan;27(1):52-6. [https://pubmed.ncbi.nlm.nih.gov/3941038/ 연결]</ref>.96-97 콜레스테롤 에스터 (cholesterol ester) 는 MGD 환자에서 항상 존재하는 반면 정상인의 MG 분비물에는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98 마이봄샘 분비물에 콜레스테롤 에스터가 있는 정상인에서는 콜레스테롤 에스터가 없는 정상인 대비 혈장 응고효소 음성 (coagulase negative) 포도알균과 황색 포도알균이 2배 많으며 이들은 콜레스테롤 에스터 지방분해효소 활성을 가지고 있다. 콜레스테롤의 존재는 황색 포도알균의 증식을 조장한다<ref>Shine WE et al. Relation of cholesterol-stimulated Staphylococcus aureus growth to chronic blepharitis. ''IOVS''. 1993 Jun;34(7):2291-6. [https://pubmed.ncbi.nlm.nih.gov/8505210/ 연결]</ref>.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