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 기능 장애: 두 판 사이의 차이

2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8월 16일 (금)
잔글
잔글 (→‎진단)
16번째 줄: 16번째 줄:


''Pityrosporum''<ref>Parunovic A et al. Pityrosporum orbiculare. Its possible role in seborrheic blepharitis. ''AJO''. 1967 Apr;63(4):815-20. [https://pubmed.ncbi.nlm.nih.gov/4225663/ 연결]</ref>과 모낭 진드기<ref>Norn MS. Demodex folliculorum. Incidence and possible pathogenic role in the human eyelid. ''Acta Ophthalmol Suppl''. 1970;108:7-85. [https://pubmed.ncbi.nlm.nih.gov/4322592/ 연결]</ref>와 같은 미생물도 눈꺼풀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이들의 역할은 아직 불명확하다. 이러한 흔한 미생물들이 MGD에서 뒤눈꺼풀염을 유발한다거나 악화시킨다는 명확한 근거들은 없지만 유증상의 앞눈꺼풀염은 유발할 수도 있다.
''Pityrosporum''<ref>Parunovic A et al. Pityrosporum orbiculare. Its possible role in seborrheic blepharitis. ''AJO''. 1967 Apr;63(4):815-20. [https://pubmed.ncbi.nlm.nih.gov/4225663/ 연결]</ref>과 모낭 진드기<ref>Norn MS. Demodex folliculorum. Incidence and possible pathogenic role in the human eyelid. ''Acta Ophthalmol Suppl''. 1970;108:7-85. [https://pubmed.ncbi.nlm.nih.gov/4322592/ 연결]</ref>와 같은 미생물도 눈꺼풀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이들의 역할은 아직 불명확하다. 이러한 흔한 미생물들이 MGD에서 뒤눈꺼풀염을 유발한다거나 악화시킨다는 명확한 근거들은 없지만 유증상의 앞눈꺼풀염은 유발할 수도 있다.
=== 동물 모델 ===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