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영구적 눈물점 폐쇄) |
잔글 (→눈물 대치 (윤활제))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인공눈물, 연고, 겔을 포함하는 윤활제 (ocular lubricant) 는 모든 단계의 건성안의 치료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며, 단독 혹은 다른 치료와 병합하여 사용된다<ref name=r6>Asbell PA. Increasing importance of DES and the ideal artificial tear : consensus views from a roundtable discussion. ''Curr Med Res Opin''. 2006 Nov;22(11):2149-57. [https://pubmed.ncbi.nlm.nih.gov/17076975/ 연결]</ref>. 대부분의 눈물 대치제 (tear supplementation) 는 안구 표면 윤활 작용을 하며 그 외 눈물 구성 성분의 보충, 염증성 물질의 희석, 눈물 오스몰 농도의 감소, 오스몰 농도의 증가에 대한 보호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ref name=r6 /><ref name=r7>Management and therapy of DED : report of the Management and Therapy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2007). ''Ocul Surf''. 2007 Apr;5(2):163-78. [https://pubmed.ncbi.nlm.nih.gov/17508120/ 연결]</ref>. 마이봄샘 기능 장애와 동반된 눈물막 증발 증가에 의한 건성안의 경우 지질이 함유된 인공눈물이 눈물층의 지질층을 회복시켜 눈물 증발을 감소시킬 수 있다<ref name=r7 />. | 인공눈물, 연고, 겔을 포함하는 윤활제 (ocular lubricant) 는 모든 단계의 건성안의 치료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며, 단독 혹은 다른 치료와 병합하여 사용된다<ref name=r6>Asbell PA. Increasing importance of DES and the ideal artificial tear : consensus views from a roundtable discussion. ''Curr Med Res Opin''. 2006 Nov;22(11):2149-57. [https://pubmed.ncbi.nlm.nih.gov/17076975/ 연결]</ref>. 대부분의 눈물 대치제 (tear supplementation) 는 안구 표면 윤활 작용을 하며 그 외 눈물 구성 성분의 보충, 염증성 물질의 희석, 눈물 오스몰 농도의 감소, 오스몰 농도의 증가에 대한 보호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ref name=r6 /><ref name=r7>Management and therapy of DED : report of the Management and Therapy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2007). ''Ocul Surf''. 2007 Apr;5(2):163-78. [https://pubmed.ncbi.nlm.nih.gov/17508120/ 연결]</ref>. 마이봄샘 기능 장애와 동반된 눈물막 증발 증가에 의한 건성안의 경우 지질이 함유된 인공눈물이 눈물층의 지질층을 회복시켜 눈물 증발을 감소시킬 수 있다<ref name=r7 />. | ||
윤활제는 저장성 혹은 등장성 용액으로 전해질, 계면 활성제와 다양한 점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상적인 인공눈물은 보존제가 없어야 하고, 전해질을 함유하고 (특히 칼륨과 중탄산염), 중합체 형태로 보존 시간이 길어야 하며, 또한 중성에서 약알칼리성 pH여야 한다<ref name=r7 />. | 윤활제는 저장성 혹은 등장성 용액으로 전해질, 계면 활성제와 다양한 점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상적인 인공눈물은 보존제가 없어야 하고, 전해질을 함유하고 (특히 칼륨과 중탄산염), 중합체 형태로 보존 시간이 길어야 하며, 또한 중성에서 약알칼리성 pH여야 한다<ref name=>Jones L et al. TFOS DEWS II Management and Therapy Report. ''Ocul Surf''. 2017 Jul;15(3):575-628. [https://pubmed.ncbi.nlm.nih.gov/28736343/ 연결]</ref><ref name=r7 />. 인공눈물의 오스몰 농도는 181~354 mOsm/L 로 다양하게 측정된다<ref name=r7 />. 높은 오스몰 농도 스트레스가 있을 때 각막 상피세포는 수분을 잃게 되고 부피를 유지하기 위해 세포내 전해질 농도를 올려 보상하려 하지만, 이로 인해 세포 스트레스 신호 기전이 활성화되고 결국 세포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ref name=r7 /><ref>Chen Z et al. Hyperosmolarity-induced cornification of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is regulated by JNK MAPK. ''IOVS''. 2008 Feb;49(2):539-49. [https://pubmed.ncbi.nlm.nih.gov/18234997/ 연결]</ref>. 따라서 인공눈물에는 오스몰 농도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글리세린과 같은 물질이 포함된다<ref name=r7 />. | ||
인공눈물에 포함된 고분자 결합체들은 점성 물질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성 물질은 인공눈물의 청소을을 감소시켜 안구에 머무르는 시간을 연장시키므로 환자의 눈이 오랫동안 편안하게 한다. 또한 점성 물질은 안구표면 점액질의 보호 작용을 유지하고 스스로도 코팅 효과를 지니므로 안구 표면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4 13 지질 성분을 함유한 인공눈물은 눈물막의 지질층을 보호하여 눈물의 증발을 감소시키므로 마이봄샘기능장애 환자의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4<ref name=r7 /> | 인공눈물에 포함된 고분자 결합체들은 점성 물질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성 물질은 인공눈물의 청소을을 감소시켜 안구에 머무르는 시간을 연장시키므로 환자의 눈이 오랫동안 편안하게 한다. 또한 점성 물질은 안구표면 점액질의 보호 작용을 유지하고 스스로도 코팅 효과를 지니므로 안구 표면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4 13 지질 성분을 함유한 인공눈물은 눈물막의 지질층을 보호하여 눈물의 증발을 감소시키므로 마이봄샘기능장애 환자의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4<ref name=r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