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Smile님이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2형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2형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잔글 (→역학)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b>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2형 (idiopathic juxtafoveal telangiectasis type 2; IJT2)</b> | <b>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2형 (idiopathic juxtafoveal telangiectasis type 2; IJT2)</b> | ||
== 역학 == | == 역학 == | ||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중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며, 주로 중년 남녀 모두에서 발생하며, <span style='color:blue;'>여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span>되고 있다. 양안에 나타나며 대칭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비대칭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시력 |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IJT]] 중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며, 주로 중년 (평균 55세) 남녀 모두에서 발생하며, <span style='color:blue;'>여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span>되고 있다. 양안에 나타나며 대칭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비대칭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시력 감소 역시 한 눈에 먼저 나타날 수 있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약 1DD 이하의 크기이며, <span style='color:blue;'>중심와 이측</span>에서 주로 발생하나 전체 중심와부근 모세혈관망을 침범하기도 한다. 안저 검사에서 망막이 다소 흐리게 보이고 망막 모세혈관의 경한 확장을 볼 수 있으며 때로 중심와부근 망막 표면에 반짝거리는 흰색 반점들을 볼 수 있다. 외측 망막 모세혈관총의 혈액을 받는 직각 소정맥이 흔히 보이며 직각 소정맥을 따라 망막 색소상피가 증식되는 것이 특징이다. | 약 1DD 이하의 크기이며, <span style='color:blue;'>중심와 이측</span>에서 주로 발생하나 전체 중심와부근 모세혈관망을 침범하기도 한다. 안저 검사에서 망막이 다소 흐리게 보이고 망막 모세혈관의 경한 확장을 볼 수 있으며 때로 중심와부근 망막 표면에 반짝거리는 흰색 반점들을 볼 수 있다. 외측 망막 모세혈관총의 혈액을 받는 직각 소정맥이 흔히 보이며 직각 소정맥을 따라 망막 색소상피가 증식되는 것이 특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