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 각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2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1월 3일 (일)
잔글
잔글 (→‎원인)
4번째 줄: 4번째 줄:
== 원인 ==
== 원인 ==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만성 포도막염이나 만성 신부전 같은 고칼슘 상태에서 가장 흔히 나타난다.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만성 포도막염이나 만성 신부전 같은 고칼슘 상태에서 가장 흔히 나타난다.
* 고칼슘혈증
* 만성 안구 질환
* 화학 물질 (점안약 및 자극제)
* 유전 질환
* 전신 질환
* 특발성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각막 대사가 변화하면 조직 pH가 높아지고 칼슘 침착이 발생한다. 또한 눈꺼풀 사이 영역의 노출로 인한 눈물 증발 때문에 칼슘 침착이 일어나거나 이산화탄소가 방출되어 결과적으로 pH가 올라간다.<br />Doughman 등은 실험 동물에게 안염증을 유발하고 비타민 D를 과다 복용시킨 실험에서 눈꺼풀이 열려 있지 않으면 띠 각막병증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 다른 경우 띠 각막병증이 만성 신부전, 포도막염, 고칼슘혈증을 가진 환자의 단안에서 발생하였으나 무수정체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다른 눈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눈에서 눈물 증발이 적은 현상이 칼슘 침착을 예방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각막 대사가 변화하면 조직 pH가 높아지고 칼슘 침착이 발생한다. 또한 눈꺼풀 사이 영역의 노출로 인한 눈물 증발 때문에 칼슘 침착이 일어나거나 이산화탄소가 방출되어 결과적으로 pH가 올라간다.<br />Doughman 등은 실험 동물에게 안염증을 유발하고 비타민 D를 과다 복용시킨 실험에서 눈꺼풀이 열려 있지 않으면 띠 각막병증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 다른 경우 띠 각막병증이 만성 신부전, 포도막염, 고칼슘혈증을 가진 환자의 단안에서 발생하였으나 무수정체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다른 눈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눈에서 눈물 증발이 적은 현상이 칼슘 침착을 예방한다는 것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