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 각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42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1월 4일 (월)
잔글
12번째 줄: 12번째 줄: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각막 대사가 변화하면 조직 pH가 높아지고 칼슘 침착이 발생한다. 또한 눈꺼풀 사이 영역의 노출로 인한 눈물 증발 때문에 칼슘 침착이 일어나거나 이산화탄소가 방출되어 결과적으로 pH가 올라간다.<br />Doughman 등은 실험 동물에게 안염증을 유발하고 비타민 D를 과다 복용시킨 실험에서 눈꺼풀이 열려 있지 않으면 띠 각막병증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 다른 경우 띠 각막병증이 만성 신부전, 포도막염, 고칼슘혈증을 가진 환자의 단안에서 발생하였으나 무수정체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다른 눈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눈에서 눈물 증발이 적은 현상이 칼슘 침착을 예방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칼슘 침착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 각막 대사의 변화로 조직 pH 증가와 칼슘 침착이 발생하거나
* 눈꺼풀 사이 영역이 노출되어 눈물이 증발해 칼슘 침착을 일으키거나
* 이산화탄소를 방출해 결과적으로 pH릅 올리는 것
으로 생각된다.
 
Doughman 등은 실험적으로 띠 각막병증이 실험 동물의 눈꺼풀이 열려 있지 않다면 안구 염증을 유발하고 비타민 D를 과다 복용시킨 실험 동물에서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ref>Doughman DJ et al. Experimental band keratopathy. ''Arch Ophthalmol''. 1969 Feb;81(2):264-71. [https://pubmed.ncbi.nlm.nih.gov/4974509/ 연결]</ref>. 또 다른 경우 띠 각막병증이 만성 신부전, 포도막염, 고칼슘혈증을 가진 환자의 한쪽 눈에서 발생하였으나 무수정체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다른 눈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눈에서 눈물 증발이 적은 현상이 칼슘 침착을 예방한다는 것을 암시한다<ref>Feist RM et al. Transient calcific band-shaped keratopathy a/w increased serum calcium. ''AJO''. 1992 Apr 15;113(4):459-61. [https://pubmed.ncbi.nlm.nih.gov/1558127/ 연결]</ref>.
 
== 증상 ==
== 증상 ==
초기에 증상이 없으나 후기에는 시력 감소, 이물감, 눈물 또는 광과민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초기에 증상이 없으나 후기에는 시력 감소, 이물감, 눈물 또는 광과민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