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대동맥류: 두 판 사이의 차이

53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6일 (금)
잔글
25번째 줄: 25번째 줄:
[[망막 분지정맥 폐쇄|BRVO]]나 [[당뇨 망막병증]], [[방사선 망막병증]], 모세혈관 확장증 등 다른 망막 혈관 질환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혈관류와 감별해야 한다. 또한 망막하 출혈이 황반부에 위치한 경우는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유사한 모습을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망막 색소상피 아래에 축적된 과량의 출혈을 동반한 경우는 흑색종이나 해면 혈관종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다. [[코우츠병]]이나 [[폰 힙펠-린도우 병]] 역시 망막 대동맥류와 유사한 양상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막 분지정맥 폐쇄|BRVO]]나 [[당뇨 망막병증]], [[방사선 망막병증]], 모세혈관 확장증 등 다른 망막 혈관 질환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혈관류와 감별해야 한다. 또한 망막하 출혈이 황반부에 위치한 경우는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유사한 모습을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망막 색소상피 아래에 축적된 과량의 출혈을 동반한 경우는 흑색종이나 해면 혈관종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다. [[코우츠병]]이나 [[폰 힙펠-린도우 병]] 역시 망막 대동맥류와 유사한 양상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비수술적 치료 ==
== 치료 ==
최근에 일부 저자들이 동반된 황반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anti-VEGF 유리체강내 주입술을 이용하여 양호하고 안전한 결과를 얻었음을 보고하였다.
망막하 출혈이나 황반부 삼출성 병변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도 있으며, 회복되지 않는 시세포층의 손상을 유발하여 영구적인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위험성이 관찰되는 경우 동맥류에 직접 혹은 주변부에 레이저 광응고를 시행하여 누출을 감소시키는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레이저 광응고를 시행하는 치료의 적응증이 확립되지 않았고, 치료의 유용성도 아직 입증되지는 않았다. 레이저 시술 후에 동맥류 원위 부에 동맥 폐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황반에 도달하는 동맥의 병변에 레이저 광응고 시행을 고려할 경우에는 주의를 요한다.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출혈을 막고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현재까지 가장 널리 고려되는 치료는 <span style='color:blue;'>동맥류에 직접 혹은 주변부에 레이저 광응고술</span>을 시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치료의 적응증이 확립되지 않았고, 치료 효과 역시 완전히 입증되지 않았다. 많은 연구자들은 대체로 삼출성 병변이 황반부를 위협할 때 치료를 시행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시술 후에 동맥류 원위부에 동맥 폐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황반에 도달하는 동맥의 병변에 시행을 고려 시에는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자연 경과 상 동맥류 원위부의 동맥 폐쇄가 잘 발생하므로, 치료 후 원치 않는 결과로 발생한 동맥류 원위부 동맥 폐쇄를 레이저 치료의 합병증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출혈을 막고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현재까지 가장 널리 고려되는 치료는 <span style='color:blue;'>동맥류에 직접 혹은 주변부에 레이저 광응고술</span>을 시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치료의 적응증이 확립되지 않았고, 치료 효과 역시 완전히 입증되지 않았다. 많은 연구자들은 대체로 삼출성 병변이 황반부를 위협할 때 치료를 시행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시술 후에 동맥류 원위부에 동맥 폐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황반에 도달하는 동맥의 병변에 시행을 고려 시에는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자연 경과 상 동맥류 원위부의 동맥 폐쇄가 잘 발생하므로, 치료 후 원치 않는 결과로 발생한 동맥류 원위부 동맥 폐쇄를 레이저 치료의 합병증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