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대동맥류: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6일 (금)
잔글
21번째 줄: 21번째 줄:
* FA : 초기 동맥기에 동맥류 내부에 형광 충만을 보이고, 후기에서는 망막-혈관 장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혈관벽에 형광 염색만을 보이는 경우에서부터 심한 형광 누출을 보이는 경우까지 다양한 소견을 보인다. RAMA 주변의 확장된 모세혈관에서 누출이 관찰되는 경우도 있다<ref name=r5 />.
* FA : 초기 동맥기에 동맥류 내부에 형광 충만을 보이고, 후기에서는 망막-혈관 장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혈관벽에 형광 염색만을 보이는 경우에서부터 심한 형광 누출을 보이는 경우까지 다양한 소견을 보인다. RAMA 주변의 확장된 모세혈관에서 누출이 관찰되는 경우도 있다<ref name=r5 />.
* ICGA : 누출된 출혈이 RAMA를 부분적 또는 완전히 가려서 형광 차단에 의한 저형광이 발생하고, RAMA가 확인이 안되는 경우에는 진단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런 경우는 ICGA가 진단에 유용하며, 특히 의심되는 병변이 동맥 혈관벽에 이어져 있으며, 박동성을 보일 경우 RAMA의 진단을 내릴 수 있다<ref>Schneider U et al. ICG videoangiography of hemorrhagic RAMA. ''Ophthalmologica''. 1997;211(2):115-8. [https://pubmed.ncbi.nlm.nih.gov/9097320/ 연결]</ref>.
* ICGA : 누출된 출혈이 RAMA를 부분적 또는 완전히 가려서 형광 차단에 의한 저형광이 발생하고, RAMA가 확인이 안되는 경우에는 진단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런 경우는 ICGA가 진단에 유용하며, 특히 의심되는 병변이 동맥 혈관벽에 이어져 있으며, 박동성을 보일 경우 RAMA의 진단을 내릴 수 있다<ref>Schneider U et al. ICG videoangiography of hemorrhagic RAMA. ''Ophthalmologica''. 1997;211(2):115-8. [https://pubmed.ncbi.nlm.nih.gov/9097320/ 연결]</ref>.
* SD-OCT : 활동성의 RAMA는 고반사 경계와 저반사 내강으로 구성된 원형의 망막 내 병변으로 관찰된다<ref>Lee EK et al.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RAMA and its regression pattern on SD OCT. ''Retina''. 2011 Nov;31(10):2095-101. [https://pubmed.ncbi.nlm.nih.gov/21716167/ 연결]</ref>. 주변부 망막 구조는 대부분 초기에는 손상이 많지 않지만, 망막하 출혈 또는 광범위한 삼출성 누출이 지속되면서 시력 저하를 동 반하는 망막 층의 구조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RAMA에서 누출된 삼출물들이 동맥류 주변을 진주 목걸이 모양으로 열을 지어 늘어서는 특징적인 모습 (pearl necklace sign) O| 관찰되기도 한다<ref>Gelman SK et al. The pearl necklace sign : a novel SD OCT finding in exudative macular disease. ''Retina''. 2014 Oct;34(10):2088-95. [https://pubmed.ncbi.nlm.nih.gov/25020214/ 연결]</ref>.
* SD-OCT : 활동성의 RAMA는 고반사 경계와 저반사 내강으로 구성된 원형의 망막 내 병변으로 관찰된다<ref>Lee EK et al.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RAMA and its regression pattern on SD OCT. ''Retina''. 2011 Nov;31(10):2095-101. [https://pubmed.ncbi.nlm.nih.gov/21716167/ 연결]</ref>. 주변부 망막 구조는 대부분 초기에는 손상이 많지 않지만, 망막하 출혈 또는 광범위한 삼출성 누출이 지속되면서 시력 저하를 동 반하는 망막 층의 구조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RAMA에서 누출된 삼출물들이 동맥류 주변을 진주 목걸이 모양으로 열을 지어 늘어서는 특징적인 모습 (pearl necklace sign) 관찰되기도 한다<ref>Gelman SK et al. The pearl necklace sign : a novel SD OCT finding in exudative macular disease. ''Retina''. 2014 Oct;34(10):2088-95. [https://pubmed.ncbi.nlm.nih.gov/25020214/ 연결]</ref>.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