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감별 진단) |
잔글 (→관련 질환)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관련 질환 == | == 관련 질환 == | ||
RAMA와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는 안구내 질환으로 [[망막 분지동맥 폐쇄]] (BRAO) 나 [[망막 분지정맥 폐쇄]] (BRVO), 과량의 출혈이 동반된 [[황반 원공]], 과량의 유리체 출혈과 동반된 [[폐쇄각 녹내장]] 등이 보고된 바 있다<ref name=r5 /><ref name=r4 />.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망막 분지정맥 폐쇄|BRVO]]나 [[당뇨 망막병증]], [[방사선 망막병증]], 모세혈관 확장증 등 다른 망막 혈관 질환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혈관류와 감별해야 한다. 또한 망막하 출혈이 황반부에 위치한 경우는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유사한 모습을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망막 색소상피 아래에 축적된 과량의 출혈을 동반한 경우는 흑색종이나 해면 혈관종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다. [[코우츠병]]이나 [[폰 힙펠-린도우 병]] 역시 망막 대동맥류와 유사한 양상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망막 분지정맥 폐쇄|BRVO]]나 [[당뇨 망막병증]], [[방사선 망막병증]], 모세혈관 확장증 등 다른 망막 혈관 질환에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혈관류와 감별해야 한다. 또한 망막하 출혈이 황반부에 위치한 경우는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유사한 모습을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망막 색소상피 아래에 축적된 과량의 출혈을 동반한 경우는 흑색종이나 해면 혈관종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있다. [[코우츠병]]이나 [[폰 힙펠-린도우 병]] 역시 망막 대동맥류와 유사한 양상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