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성 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78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2일 (목)
잔글
잔글 (→‎대상)
잔글 (→‎원칙)
40번째 줄: 40번째 줄:


=== 원칙 ===
=== 원칙 ===
* 급성 :  
홍채뒤 유착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면 단기간 작용 산동제/조절 마비제 (호마트로핀 5%, 하루 2~3회) 를 사용해 동공이 지속적으로 움지일 수 있도록 한다. 이미 홍채뒤 유착이 형성되었다면 페닐에프린 2.5~10% (고혈압 및 심장 질환 환자에서는 유의해 사용해야 함) 및 아트로핀 1%를 자주 점안한다. 만약 이러한 점안 치료로 충분치 않다면 페닐에프린과 아트로핀을 면 거즈에 적셔서 위쪽 혹 은 아래쪽 결막낭에 넣어둘 수 있다. 또한 동공을 열리게 하기 위해 유착의 정점부에서 결막하로 주사할 수 있다<ref>Smith RE et al. Uveitis : a clinical approach to diagnosis and management. 2n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89</ref>.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의 주요 작용 기전은 프로스타글란딘 (PG) 유사체 합성을 감소시키는 것인데, [[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부종]] (PCME) 치료에는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으나<ref>Flach AJ et al. Prophylaxis of aphakic CME wo corticosteroids. A paired-comparison, placebo-controlled double-masked study. ''Ophthalmology''. 1990 Oct;97(10):1253-8. [https://pubmed.ncbi.nlm.nih.gov/2243674/ 연결]</ref><ref>Flach AJ et al. Effectiveness of ketorolac tromethamine 0.5% ophthalmic solution for chronic aphakic and PCME. ''AJO''. 1987 Apr 15;103(4):479-86. [https://pubmed.ncbi.nlm.nih.gov/3551617/ 연결]</ref>, 포도막염에서 발생한 [[낭포 황반부종|CME]]에도 유용한지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오랜 기간 포도막염 환자를 치료해온 결과 [[낭포 황반부종|CME]]의 발병 및 정도를 감소시킨다고 믿어지나, 일단 [[낭포 황반부종|CME]]이 있는 경우에는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단, 백내장 수술 후 생긴 급성 안내 염증 치료에는 안전하고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ref>Solomon KD et al. Topical ketorolac tromethamine 0.5% ophthalmic solution in ocular inflammation after cataract surgery. ''Ophthalmology''. 2001 Feb;108(2):331-7. [https://pubmed.ncbi.nlm.nih.gov/11158809/ 연결]</ref>.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의 주요 작용 기전은 프로스타글란딘 (PG) 유사체 합성을 감소시키는 것인데, [[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부종]] (PCME) 치료에는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으나<ref>Flach AJ et al. Prophylaxis of aphakic CME wo corticosteroids. A paired-comparison, placebo-controlled double-masked study. ''Ophthalmology''. 1990 Oct;97(10):1253-8. [https://pubmed.ncbi.nlm.nih.gov/2243674/ 연결]</ref><ref>Flach AJ et al. Effectiveness of ketorolac tromethamine 0.5% ophthalmic solution for chronic aphakic and PCME. ''AJO''. 1987 Apr 15;103(4):479-86. [https://pubmed.ncbi.nlm.nih.gov/3551617/ 연결]</ref>, 포도막염에서 발생한 [[낭포 황반부종|CME]]에도 유용한지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오랜 기간 포도막염 환자를 치료해온 결과 [[낭포 황반부종|CME]]의 발병 및 정도를 감소시킨다고 믿어지나, 일단 [[낭포 황반부종|CME]]이 있는 경우에는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단, 백내장 수술 후 생긴 급성 안내 염증 치료에는 안전하고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ref>Solomon KD et al. Topical ketorolac tromethamine 0.5% ophthalmic solution in ocular inflammation after cataract surgery. ''Ophthalmology''. 2001 Feb;108(2):331-7. [https://pubmed.ncbi.nlm.nih.gov/11158809/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