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성 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50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2일 (목)
잔글
잔글 (→‎NSAIDs)
잔글 (→‎검사)
34번째 줄: 34번째 줄:
|4+||>50||심함 (섬유소, 삼출 방수)
|4+||>50||심함 (섬유소, 삼출 방수)
|}
|}
안압 측정도 포도막염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단서가 될 수 있다. 대부분의 포도막염은 급성기에는 안압을 감소시키지만 단순포진 바이러스, 대상포진 바이러스, [[포스너-쉴로스만 증후군|녹내장 섬모체 염발작]], 톡소포자충증, [[사르코이드증]] 에서는 급성기에도 흔히 안압이 상승한다. 물론 자주 발병하면 어떠한 질환이라도 안압올 상승시킬 수 있는데, 이는 염증 혹은 색소 세포에 의한 섬유주 폐쇄, 홍채뒤 유착으로 인한 홍채 팽륜, 홍채앞 유착, 혹은 섬모체의 전방 이동 때문이다.
간접 검안경 검사 및 안저 렌즈를 통해 유리체와 안저를 검사해야 한다. 직접 및 간접 검안경으로 유리체 염증을 정량화할 수 있으나 간접 검안경 검사가 더 흔히 사용되므로 이를 근거로 한 분류를 사용한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유리체 혼탁의 정도
|-
!등급||상태
|-
|0||염증 없음
|-
|1||망막 혈관 및 시신경이 경하게 흐림
|-
|2||중등도로 흐림
|-
|3||현저히 흐림
|-
|4||시신경 유두가 보이지 않음
|}
안저 검사에서 중요한 점은 염증이 일차적으로 망막에 있는지 맥락막에 있는지, 국소적인지 산발적인지, 현관염올 동반했는지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황반 상태를 검사해 [[낭포 황반부종|CME]]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치료 ==
==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