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502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3일 (금)
잔글
15번째 줄: 15번째 줄:
<span style='color:blue;'>전신 스테로이드 농도 증가</span>도 질환의 발생을 높인다. 즉 임신<ref>Gass JD. CSC and white subretinal exudation during pregnancy. ''Arch Ophthalmol''. 1991 May;109(5):677-81. [https://pubmed.ncbi.nlm.nih.gov/2025170/ 연결]</ref><ref>Fastenberg DM et al. CSC in pregnancy. ''Arch Ophthalmol''. 1983 Jul;101(7):1055-8. [https://pubmed.ncbi.nlm.nih.gov/6683497/ 연결]</ref><ref>Quillen DA et al. CSC in women. ''Ophthalmology''. 1996 Jan;103(1):72-9. [https://pubmed.ncbi.nlm.nih.gov/8628563/ 연결]</ref>, 말기 신부전, 장기 이식, 내인성 코티솔 생산 증가<ref>Garg SP et al. Endogenous cortisol profile in patients w CSC. ''BJO''. 1997 Nov;81(11):962-4. [https://pubmed.ncbi.nlm.nih.gov/9505819/ 연결]</ref><ref>Bouzas EA et al. CSC in endogenous hypercortisolism. ''Arch Ophthalmol''. 1993 Sep;111(9):1229-33. [https://pubmed.ncbi.nlm.nih.gov/8363466/ 연결]</ref>, 비강내 스테로이드 흡인, 스테로이드 전신 치료 등을 받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ref>Haimovici R et al; CSC Case-Control Study Group. Risk factors for CSC : a case-control study. ''Ophthalmology''. 2004 Feb;111(2):244-9. [https://pubmed.ncbi.nlm.nih.gov/15019370/ 연결]</ref>. 혈액 응고 작용과 혈소판 응집 반응의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 인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방수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혈소판 유래 성장인재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가 낮게 측정된 것으로 보고된다<ref>Shin MC et al. Concentration of cytokines in the aqueous humor of patients w CSC. ''Retina''. 2011 Oct;31(9):1937-43. [https://pubmed.ncbi.nlm.nih.gov/21478806/ 연결]</ref>.
<span style='color:blue;'>전신 스테로이드 농도 증가</span>도 질환의 발생을 높인다. 즉 임신<ref>Gass JD. CSC and white subretinal exudation during pregnancy. ''Arch Ophthalmol''. 1991 May;109(5):677-81. [https://pubmed.ncbi.nlm.nih.gov/2025170/ 연결]</ref><ref>Fastenberg DM et al. CSC in pregnancy. ''Arch Ophthalmol''. 1983 Jul;101(7):1055-8. [https://pubmed.ncbi.nlm.nih.gov/6683497/ 연결]</ref><ref>Quillen DA et al. CSC in women. ''Ophthalmology''. 1996 Jan;103(1):72-9. [https://pubmed.ncbi.nlm.nih.gov/8628563/ 연결]</ref>, 말기 신부전, 장기 이식, 내인성 코티솔 생산 증가<ref>Garg SP et al. Endogenous cortisol profile in patients w CSC. ''BJO''. 1997 Nov;81(11):962-4. [https://pubmed.ncbi.nlm.nih.gov/9505819/ 연결]</ref><ref>Bouzas EA et al. CSC in endogenous hypercortisolism. ''Arch Ophthalmol''. 1993 Sep;111(9):1229-33. [https://pubmed.ncbi.nlm.nih.gov/8363466/ 연결]</ref>, 비강내 스테로이드 흡인, 스테로이드 전신 치료 등을 받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ref>Haimovici R et al; CSC Case-Control Study Group. Risk factors for CSC : a case-control study. ''Ophthalmology''. 2004 Feb;111(2):244-9. [https://pubmed.ncbi.nlm.nih.gov/15019370/ 연결]</ref>. 혈액 응고 작용과 혈소판 응집 반응의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 인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방수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혈소판 유래 성장인재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가 낮게 측정된 것으로 보고된다<ref>Shin MC et al. Concentration of cytokines in the aqueous humor of patients w CSC. ''Retina''. 2011 Oct;31(9):1937-43. [https://pubmed.ncbi.nlm.nih.gov/21478806/ 연결]</ref>.


그 외 위험 인자로는 항생제 사용, 흡연, 음주, 치료되지 않은 고혈압,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이 있다. 위장의 H.pylori 감염과 연관이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아 있다.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와 관련된 경우는 망막하 섬유화가 잘 발생한다.
그 외 위험 인자로는 항생제 사용, 흡연, 음주, 치료되지 않은 고혈압,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이 있다. 위장의 H.pylori 감염과 연관이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아 있다<ref>Rahbani-Nobar MB et al. The effect of H.pylori treatment on remission of idiopathic CSC. ''Mol Vis''. 2011 Jan 11;17:99-103. [https://pubmed.ncbi.nlm.nih.gov/21245962/ 연결]</ref><ref>Cotticelli L et al. CSC and H.pylori. ''Eur J Ophthalmol''. 2006 Mar-Apr;16(2):274-8. [https://pubmed.ncbi.nlm.nih.gov/16703546/ 연결]</ref><ref>Misiuk-Hojło M et al. H.pylori - a RF for the developement of the CSC. ''Klin Oczna''. 2009;111(1-3):30-2. [https://pubmed.ncbi.nlm.nih.gov/19517842/ 연결]</ref>.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와 관련된 경우는 망막하 섬유화가 잘 발생한다.


== 분류 ==
==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