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병인) |
잔글 (→병인)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허혈부위에서 동맥 충만의 지연과 정맥 울혈로 인해 맥락막 투과성 항진이 초래된다<ref>Prünte C et al. Choroidal capillary and venous congestion in CSC. ''AJO''. 1996 Jan;121(1):26-34. [https://pubmed.ncbi.nlm.nih.gov/8554078/ 연결]</ref>. 그러므로 맥락막은 두꺼워지고 망막하 물질 침착이 유발될 수 있다.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조영술|ICGA]]에서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전반적인 투과성 증가 및 과형광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정상으로 여겨졌던 반대편 눈에서도 관찰되었다<ref name=r6 />. Guyer 등<ref>Guyer DR et al. Digital ICG videoangiography of CSC. ''Arch Ophthalmol''. 1994 Aug;112(8):1057-62. [https://pubmed.ncbi.nlm.nih.gov/8053819/ 연결]</ref>은 이 현상을 보고 맥락막의 투과성 증가가 이 질환의 원인이라고 가정하였다. Spaide 등<ref name=r6 />은 주로 만성 질환을 가진 고령 환자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맥락막 혈류의 자가 조절 기능의 이상이 초기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 허혈부위에서 동맥 충만의 지연과 정맥 울혈로 인해 맥락막 투과성 항진이 초래된다<ref>Prünte C et al. Choroidal capillary and venous congestion in CSC. ''AJO''. 1996 Jan;121(1):26-34. [https://pubmed.ncbi.nlm.nih.gov/8554078/ 연결]</ref>. 그러므로 맥락막은 두꺼워지고 망막하 물질 침착이 유발될 수 있다.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조영술|ICGA]]에서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전반적인 투과성 증가 및 과형광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정상으로 여겨졌던 반대편 눈에서도 관찰되었다<ref name=r6 />. Guyer 등<ref>Guyer DR et al. Digital ICG videoangiography of CSC. ''Arch Ophthalmol''. 1994 Aug;112(8):1057-62. [https://pubmed.ncbi.nlm.nih.gov/8053819/ 연결]</ref>은 이 현상을 보고 맥락막의 투과성 증가가 이 질환의 원인이라고 가정하였다. Spaide 등<ref name=r6 />은 주로 만성 질환을 가진 고령 환자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맥락막 혈류의 자가 조절 기능의 이상이 초기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 ||
Yoshioka 등28-애은 원숭이에게 에피네프린을 실험적으로 주사하여 후극부에 [[장액 망막박리]]를 유발시켰는데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상 맥락막 혈관 수축과 누출, 바로 위의 [[망막 색소상피|RPE]] 변성 등을 관찰하였고, 이는 순환계에 아드레날린의 자극이 맥락막 혈관 수축과 혈류의 이상을 초래하여 CSC를 유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쿠싱병,11-13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자<ref>Gass JD et al. Bilateral bullous exudative RD complicating idiopathic CSC during systemic corticosteroid therapy. ''Ophthalmology''. 1995 May;102(5):737-47. [https://pubmed.ncbi.nlm.nih.gov/7777273/ 연결]</ref>, 장기 이식 받은 환자<ref>Friberg TR et al. sRD resembling CSC following organ transplantation.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0;228(4):305-9. [https://pubmed.ncbi.nlm.nih.gov/2401412/ 연결]</ref>에서 코티솔 수치가 증가되어 있는 것도 이 질환과 관련 있고, 임신 기간에도 내인성 코티솔 수치가 증가하여 발병률이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다. 8-10 스테로이드의 역할이 자세히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항염증 작용과 세포외기질 합성 억제, 섬유아세포 활성 억제를 통해 [[망막 상피세포|RPE]] 사이의 치밀 결합의 손상이 치유 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33-35 또한 과다한 코티솔이 모세혈관을 약하게 하고 투과성을 증가시키며 맥락막 순환 부전 및 망막하 공간으로의 유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ref>Chrousos GP et al. The concepts of stress and stress system disorders. Overview of physical and behavioral homeostasis. ''JAMA''. 1992 Mar 4;267(9):1244-52. [https://pubmed.ncbi.nlm.nih.gov/1538563/ 연결]</ref><ref>Gill GN. Adrenal gland. In: West JB, ed. Best and Taylors physiological basis of medical practice, subsequent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0;820-30.</ref>. 게다가 이온 수송체에 직접 작용하여 [[망막 색소상피|RPE]]의 극성을 역전시켜, 망막하 공간으로 분비된 이온을 따라 액체의 이동을 촉진시 키고 장액 황반박리를 일으킬 수 있다. | |||
맥락막 모세혈관의 미세 순환 이상에 의해 [[망막 색소상피|RPE]] 하 공간으로의 누출이 증가되는 것도 생각되고 있다. 누출이 증가된 채로 시간이 지나면 [[망막 색소상피|RPE]]의 정상 적인 펌프 기능도 상실되고 그 결과 이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미세 순환의 부전이 계속되면 질환의 재발과 영구적인 조직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 맥락막 모세혈관의 미세 순환 이상에 의해 [[망막 색소상피|RPE]] 하 공간으로의 누출이 증가되는 것도 생각되고 있다. 누출이 증가된 채로 시간이 지나면 [[망막 색소상피|RPE]]의 정상 적인 펌프 기능도 상실되고 그 결과 이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미세 순환의 부전이 계속되면 질환의 재발과 영구적인 조직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