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중심정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9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5일 (일)
잔글
잔글 (→‎분류)
잔글 (→‎역학)
1번째 줄: 1번째 줄:
'''망막 중심정맥 폐쇄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CRVO)'''{{망막}} 는 심각한 시력 상실을 초래할 수 있는 망막 혈관 질환 중 하나이다.
'''망막 중심정맥 폐쇄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CRVO)'''{{망막}} 는 심각한 시력 상실을 초래할 수 있는 망막 혈관 질환 중 하나이다.
== 역학 ==
== 역학 ==
유병률은 0.1~0.4%로 알려져 있다. 남녀 간의 발생률 차이는 없고, 65세 이상의 고령에서 호발하며, 고혈압과 당뇨병 등 전신 혈관 질환과 연관된 경우가 많다. 젊은 환자의 경우 과응고 또는 염증성 기저 질환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ref>Gutman FA. Evaluation of a patient w CRVO. ''Ophthalmology''. 1983 May;90(5):481-3. [https://pubmed.ncbi.nlm.nih.gov/6877780/ 연결]</ref><ref>Fong AC et al. CRVO in young adults. ''Surv Ophthalmol''. 1993 May-Jun;37(6):393-417. [https://pubmed.ncbi.nlm.nih.gov/8516752/ 연결]</ref>. 보통 한 눈에 발병하지만, 반대안에 CRVO가 발생할 연간 위험도가 1% 정도로 보고되고 있고 5년 위험도는 7%까지 추정된다.
유병률은 0.1~0.4%로 알려져 있다. 남녀 간의 발생률 차이는 없고, 65세 이상의 고령에서 호발하며, 고혈압과 당뇨병 등 전신 혈관 질환과 연관된 경우가 많다. 젊은 환자의 경우 과응고 또는 염증성 기저 질환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ref name=r2>Gutman FA. Evaluation of a patient w CRVO. ''Ophthalmology''. 1983 May;90(5):481-3. [https://pubmed.ncbi.nlm.nih.gov/6877780/ 연결]</ref><ref>Fong AC et al. CRVO in young adults. ''Surv Ophthalmol''. 1993 May-Jun;37(6):393-417. [https://pubmed.ncbi.nlm.nih.gov/8516752/ 연결]</ref>. 보통 한 눈에 발병하지만, 반대안에 CRVO가 발생할 연간 위험도가 1% 정도로 보고되고 있고 5년 위험도는 7%까지 추정된다.
 
== 병인 ==
== 병인 ==
병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조직병리학적 연구에서 망막 중심정맥의 내강을 막는 혈전이 사상판 또는 사상판 근위부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사상판의 해부학적 변이가 병인에 있어 중요함을 암시한다. 사상판 후방의 시신경 부위에서 망막 중심동맥과 정맥은 공통 조직초 (common tissue sheath) 에 둘러싸인 채 주행하기 때문에 사상판의 단단한 체 모양 구멍을 통과할 때 눌리기 쉽다. 이들 혈관은 사상판을 통과하기 전에 분지 측부 혈관 (branching collateral vessels) 을 내는데 안압 상승 시 나타나는 사상판의 기계적 스트레칭에 의해 쉽게 눌릴 수 있다. 이는 사상판의 후방 굴곡을 유발하여 망막 중심정맥에에 대한 이차 폐쇄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국소 인자 들은 망악 중심동맥에 동맥경화 변화에 의한 압박과 망막 중심정맥의 염증에 따른 직접적 폐쇄와 함께 중요하다.
병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조직병리학적 연구에서 망막 중심정맥의 내강을 막는 혈전이 사상판 또는 사상판 근위부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사상판의 해부학적 변이가 병인에 있어 중요함을 암시한다. 사상판 후방의 시신경 부위에서 망막 중심동맥과 정맥은 공통 조직초 (common tissue sheath) 에 둘러싸인 채 주행하기 때문에 사상판의 단단한 체 모양 구멍을 통과할 때 눌리기 쉽다. 이들 혈관은 사상판을 통과하기 전에 분지 측부 혈관 (branching collateral vessels) 을 내는데 안압 상승 시 나타나는 사상판의 기계적 스트레칭에 의해 쉽게 눌릴 수 있다. 이는 사상판의 후방 굴곡을 유발하여 망막 중심정맥에에 대한 이차 폐쇄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국소 인자 들은 망악 중심동맥에 동맥경화 변화에 의한 압박과 망막 중심정맥의 염증에 따른 직접적 폐쇄와 함께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