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베바시주맙 (Avastin®)) |
잔글 (→라니비주맙 (Lucentis®))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라니비주맙]] (Lucentis®) ==== | ==== [[라니비주맙]] (Lucentis®) ==== | ||
[[망막 중심정맥 폐쇄|CRVO]]에 동반된 황반 부종 환자에서 라니비주맙의 치료 효과를 판정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 대조군 제 3상 임상연구 (CRUISE)<ref>Brown DM et al; CRUISE Investigators. Ranibizumab for ME following CRVO : 6m primary end point results of a P3 study. ''Ophthalmology''. 2010 Jun;117(6):1124-1133.e1. [https://pubmed.ncbi.nlm.nih.gov/20381871/ 연결]</ref> 결과를 보면 치료 6개월 후 [[라니비주맙]] 군에서 유의한 시력 호전을 보였으며 세 줄 이상의 호전을 보인 비율도 0.3mg과 0.5mg 주사군에서 46%, 48%로 나타나 대조군에서 17%보다 높았다. 6개월 종료 시점 이후 에는 세 군 모두 매달 경과 관찰하면서 [[라니비주맙]]을 필요에 따라 주사하였는데 모든 군에서 유의한 시력과 해부학적 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후 12개월 동안 전향적 확장 연구인 HORIZON<ref>Heier JS et al. Ranibizumab for ME due to RVO : long-term FU in the HORIZON trial. ''Ophthalmology''. 2012 Apr;119(4):802-9. [https://pubmed.ncbi.nlm.nih.gov/22301066/ 연결]</ref>이 진행되었는데 환자들을 적어도 3개월마다 경과 관찰하였고 [[빛간섭 단층 촬영|OCT]]에서 중심 황반 두께가 250㎛를 초과하거나 시력을 제한하는 반복적이거나 지속적인 부종이 있는 경우 추가 주사를 시행하였다. 흥미롭게도 CRUISE 연구 종료 시점에 세 줄 이상 시력 호전을 보였던 환자 비율이 12개월이 지난 시점에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RETAIN 연구<ref>Campochiaro PA et al; RETAIN Study Group. Long-term outcomes in patients w RVO treated w ranibizumab : the RETAIN study. ''Ophthalmology''. 2014 Jan;121(1):209-219. [https://pubmed.ncbi.nlm.nih.gov/24112944/ 연결]</ref>를 통해 2년 추가 연장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첫해는 다시 매달 경과 관찰하였고 이후는 연 구자 판단에 따라 매달 또는 적어도 3개월마다 경과 관찰 하도록 하였으며 부종이 확인되면 추가 주사를 시행하였다. 4년 동안의 경과 관찰에서 세 줄 이상 시력 호전은 53%에서 보였고 평균 시력 호전은 CRUISE 종료 시점과 비교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01들 연구들은 부종을 안정화 시키기 위해 상당한 기간 동안의 치료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비관류 영역에 광응고술 (sector [[범망막 광응고|PRP]]) 추가하여 주사 빈도를 줄이려는 시도는 아직까지 그 효과를 증명하지 못하였다<ref>Campochiaro PA et al. Scatter Photocoagulation Does Not Reduce ME or Treatment Burden in Patients w RVO : The RELATE Trial. ''Ophthalmology''. 2015 Jul;122(7):1426-37. [https://pubmed.ncbi.nlm.nih.gov/25972260/ 연결]</ref>. | [[망막 중심정맥 폐쇄|CRVO]]에 동반된 황반 부종 환자에서 라니비주맙의 치료 효과를 판정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 대조군 제 3상 임상연구 (CRUISE)<ref>Brown DM et al; CRUISE Investigators. Ranibizumab for ME following CRVO : 6m primary end point results of a P3 study. ''Ophthalmology''. 2010 Jun;117(6):1124-1133.e1. [https://pubmed.ncbi.nlm.nih.gov/20381871/ 연결]</ref> 결과를 보면 치료 6개월 후 [[라니비주맙]] 군에서 유의한 시력 호전을 보였으며 세 줄 이상의 호전을 보인 비율도 0.3mg과 0.5mg 주사군에서 46%, 48%로 나타나 대조군에서 17%보다 높았다. 6개월 종료 시점 이후 에는 세 군 모두 매달 경과 관찰하면서 [[라니비주맙]]을 필요에 따라 주사하였는데 모든 군에서 유의한 시력과 해부학적 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후 12개월 동안 전향적 확장 연구인 HORIZON<ref>Heier JS et al. Ranibizumab for ME due to RVO : long-term FU in the HORIZON trial. ''Ophthalmology''. 2012 Apr;119(4):802-9. [https://pubmed.ncbi.nlm.nih.gov/22301066/ 연결]</ref>이 진행되었는데 환자들을 적어도 3개월마다 경과 관찰하였고 [[빛간섭 단층 촬영|OCT]]에서 중심 황반 두께가 250㎛를 초과하거나 시력을 제한하는 반복적이거나 지속적인 부종이 있는 경우 추가 주사를 시행하였다. 흥미롭게도 CRUISE 연구 종료 시점에 세 줄 이상 시력 호전을 보였던 환자 비율이 12개월이 지난 시점에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RETAIN 연구<ref>Campochiaro PA et al; RETAIN Study Group. Long-term outcomes in patients w RVO treated w ranibizumab : the RETAIN study. ''Ophthalmology''. 2014 Jan;121(1):209-219. [https://pubmed.ncbi.nlm.nih.gov/24112944/ 연결]</ref>를 통해 2년 추가 연장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첫해는 다시 매달 경과 관찰하였고 이후는 연 구자 판단에 따라 매달 또는 적어도 3개월마다 경과 관찰 하도록 하였으며 부종이 확인되면 추가 주사를 시행하였다. 4년 동안의 경과 관찰에서 세 줄 이상 시력 호전은 53%에서 보였고 평균 시력 호전은 CRUISE 종료 시점과 비교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01들 연구들은 부종을 안정화 시키기 위해 상당한 기간 동안의 치료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비관류 영역에 광응고술 (sector [[범망막 광응고|PRP]]) 추가하여 주사 빈도를 줄이려는 시도는 아직까지 그 효과를 증명하지 못하였다<ref>Campochiaro PA et al. Scatter Photocoagulation Does Not Reduce ME or Treatment Burden in Patients w RVO : The RELATE Trial. ''Ophthalmology''. 2015 Jul;122(7):1426-37. [https://pubmed.ncbi.nlm.nih.gov/25972260/ 연결]</ref>. | ||
==== [[애플리버셉트]] (Eylea®) ==== | |||
[[망막 중심정맥 폐쇄|CRVO]]로 인한 황반 부종에 대한 [[애플리버셉트]]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COPERNICUS<ref>Boyer D et al. VEGF Trap-Eye for ME secondary to CRVO : 6m results of the P3 COPERNICUS study. ''Ophthalmology''. 2012 May;119(5):1024-32. [https://pubmed.ncbi.nlm.nih.gov/22440275/ 연결]</ref>와 GAULEO<ref>Holz FG et al. VEGF Trap-Eye for ME secondary to CRVO : 6m results of the P3 GALILEO study. ''BJO''. 2013 Mar;97(3):278-84. [https://pubmed.ncbi.nlm.nih.gov/23298885/ 연결]</ref>라는 전향적 3상 임상 시험이 시행되었다. COPERNICUS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세 줄 이상의 시력 호전을 보인 비율이 [[애플리버셉트]] 군에서 56%, 대조군에서는 12%였고, GALILEO 연구에서는 주사군에서 60%, 대조군에서 22%였다. 초기 6개월 치료 후 12개월까지 COPERNICUS에서는 두 군 모두에서 매달 경과 관찰하면서 필요시 [[애플리버셉트]] 주사를 시행하였고, GALILEO에서는 [[애플리버셉트]] 군만 매달 필요 시 주사를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sham 주사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후 COPERNICUS에서는 24개월까지 연구자 판단에 따라 최소 3개월마다 경과 관찰하면서 필요 시 주사를 시행 하였는데 방문 횟수 감소와 함께 시력 호전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GALILEO는 12개월 이후 18개월 까지 두 군 모두에서 8주마다 경과 관찰하면서 필요에 따라 주사를 시행하였는데 세 줄 이상 시력 호전 비율이 18개월 후 주사군에서 57%로 대조군에서 29%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주사군에서 대부분의 환자들이 12개월째 시력 호전을 유지하였다. | |||
== 안구 신생혈관에 대한 치료 == | == 안구 신생혈관에 대한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