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해석) |
잔글 (→깊이, 구획)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빛간섭 단층 촬영|OCT]]의 정면 (en-face) 영상을 해석하는 것과 유사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구역을 정한 후, 구역의 단면을 확인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영상을 분석하는 데는 영상의 깊이, slab, 혈류 신호 및 decorrelation signal, 혈관의 모양, 특성 등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빛간섭 단층 촬영|OCT]] 영상과 조금 달라서 여기에 쓰이는 단어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 [[빛간섭 단층 촬영|OCT]]의 정면 (en-face) 영상을 해석하는 것과 유사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구역을 정한 후, 구역의 단면을 확인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영상을 분석하는 데는 영상의 깊이, slab, 혈류 신호 및 decorrelation signal, 혈관의 모양, 특성 등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빛간섭 단층 촬영|OCT]] 영상과 조금 달라서 여기에 쓰이는 단어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 ||
=== 깊이, 구획 === | === 깊이, 구획 === | ||
OCTA는 3차원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깊이에 따른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영상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에 따라 원하는 층의 혈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을 나누는 경계는 일반적으로는 [[내경계막]], [[내망상층]], [[외망상층]], [[망막 색소상피]]층 또는 [[브루크막]]을 기준으로 한다<ref name=r5 />. | |||
== 질환별 소견 == | == 질환별 소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