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 두 판 사이의 차이

1,108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23일 (월)
잔글
잔글 (→‎Slab)
18번째 줄: 18번째 줄:
OCTA 촬영 중 눈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따라,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보여야 할 혈관들이 끊어져 보이거나 두 개로 중복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망막 색소상피]] (RPE) 세포와 같이 [[빛간섭 단층 촬영|OCT]] 상 고반사도로 나타나는 부위는 눈이 움직임에 따라 해당 부위의 반사도가 변하게 되므로,마치 혈류가 있는 것처럼 nonvascular decorrelation signal이 나타날 수 있어, OCTA 영상에서 밝게 보일 수 있다. 또한 눈 깜박임에 따라 검은 선처럼 보이는 허상들이 나타날 수 있는데, 많은 기기들에서 눈 추적 기술을 적용하여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있지만, 아직은 이러한 허상들이 완벽하게 보정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OCTA 촬영 중 눈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따라,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보여야 할 혈관들이 끊어져 보이거나 두 개로 중복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망막 색소상피]] (RPE) 세포와 같이 [[빛간섭 단층 촬영|OCT]] 상 고반사도로 나타나는 부위는 눈이 움직임에 따라 해당 부위의 반사도가 변하게 되므로,마치 혈류가 있는 것처럼 nonvascular decorrelation signal이 나타날 수 있어, OCTA 영상에서 밝게 보일 수 있다. 또한 눈 깜박임에 따라 검은 선처럼 보이는 허상들이 나타날 수 있는데, 많은 기기들에서 눈 추적 기술을 적용하여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있지만, 아직은 이러한 허상들이 완벽하게 보정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투영 허상 (projection artifact) 은 관찰하고자 하는 깊이보다 더 위에 있는 조직이나 혈관 때문에 밑에 있는 조직의 영상에 허상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는 표층에 위치한 혈류의 흐름 때문에, 더 깊이 있는 조직에 [[빛간섭 단층 촬영|OCT]]의 반사도가 영향을 받기 때문인데, 쉽게 이해하면, 물체가 음직이는 것 외에 뒤에 비치는 그림자가 움직이는 것을 해당 부위에 신호가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 영상화한다고 할 수 있다. 망막의 외측 부위인 무혈관 부위나, 맥락막 모세혈관 층을 확인할 때는 이러한 투사 왜곡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요즘 출시된 [[빛간섭 단층 촬영|OCT]] 기기에서는 이러한 투사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어, 이를 적용하여 해석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투사 허상 (projection artifact) 은 관찰하고자 하는 깊이보다 더 위에 있는 조직이나 혈관 때문에 밑에 있는 조직의 영상에 허상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는 표층에 위치한 혈류의 흐름 때문에, 더 깊이 있는 조직에 [[빛간섭 단층 촬영|OCT]]의 반사도가 영향을 받기 때문인데, 쉽게 이해하면, 물체가 움직이는 것 외에 뒤에 비치는 그림자가 움직이는 것을 해당 부위에 신호가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 영상화한다고 할 수 있다. 망막의 외측 부위인 무혈관 부위나, 맥락막 모세혈관 층을 확인할 때는 이러한 투사 왜곡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요즘 출시된 [[빛간섭 단층 촬영|OCT]] 기기에서는 이러한 투사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어, 이를 적용하여 해석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 외에도 망막 혹은 맥락막의 구조의 변화에 따른 [[빛간섭 단층 촬영|OCT]] 상 구획을 나누는 과정에서의 오류가 발생하여 해당 위치의 혈류가 아님에도 해당 부위에 마치 있는 것처럼 반영이 될 수도 있다.
 
현재, 다양한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각 기기별 영상을 획득하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 기기마다 촬영에 이용하는 빛의 파장, 촬영 속도, 해상도, 영상 처리 알고리즘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대상자를 촬영하더라도 기기마다 영상 구현되는 것이 다르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ref>박서연 등, 네 가지 OCTA 기기의 망막 혈관 밀도와 망막 FAZ의 크기 분석, ''한안지'' 2020;61(5):482-49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0177 연결]</ref>. 즉,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혈관의 밀도, 무혈관 부위의 넓이 등도 기기별로 측정값이 다르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다른 기기로 찍은 영상들에서 나타나는 정보를 비교할 때는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 질환별 소견 ==
== 질환별 소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