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 두 판 사이의 차이

78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23일 (월)
잔글
잔글 (→‎Slab)
13번째 줄: 13번째 줄:
=== Slab ===
=== Slab ===
Slab은 일정 부피의 조직을 일컫는 단어로, 일반적으로 OCTA에서의 slab은 특정 범위의 망막층의 정면 (en-face) 영상을 일컫는다.
Slab은 일정 부피의 조직을 일컫는 단어로, 일반적으로 OCTA에서의 slab은 특정 범위의 망막층의 정면 (en-face) 영상을 일컫는다.
=== 혈관의 특성 ===
위의 과정을 거쳐 확인한 영상을 보고, 혈관의 모양 (morphology), 구조 (architecture), 질감 (texture) 등을 규정할 수 있다. 이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에서는 정의되지 않던 용어로, 혈관의 모양 및 구조는 모양이 규칙적인지, 비규칙적인지, 혈관 밀도가 높은지, 낮은지, 혈관 간격이 넓은지, 좁은지, 혈관이 팽창되어 있는지 수축되어 있는지, 주행 방향이 어떤지 등을 보고 확인할 수 있고, 질감은 혈관의 밀도와 형태 등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거친지(coarse), 느슨한지 (loose), 과립모양인지(granularl, 세밀한지(fine), 얼룩덜룩한 지 (speckled), 옅은지(faint) 등으로 기술할 수 있다.
=== 허상 (artifact) ===
=== 허상 (artifact) ===
OCTA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주의해야 할 것은 허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ref name=r5 /><ref>Spaide RF et al. Image Artifacts in OCTA. ''Retina''. 2015 Nov;35(11):2163-80. [https://pubmed.ncbi.nlm.nih.gov/26428607/ 연결]</ref>. OCTA가 연속한 단층 촬영 영상에서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혈관을 영상화하는 방법인데, 이러한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혹은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허상이 나타날 수 있다. 즉, 실제로 혈류가 없는 곳임에도 혈류가 있는 것처럼 영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혈류가 있는 곳임에도 없는 것처럼 나타날 수 있다.
OCTA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주의해야 할 것은 허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ref name=r5 /><ref>Spaide RF et al. Image Artifacts in OCTA. ''Retina''. 2015 Nov;35(11):2163-80. [https://pubmed.ncbi.nlm.nih.gov/26428607/ 연결]</ref>. OCTA가 연속한 단층 촬영 영상에서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혈관을 영상화하는 방법인데, 이러한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혹은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허상이 나타날 수 있다. 즉, 실제로 혈류가 없는 곳임에도 혈류가 있는 것처럼 영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혈류가 있는 곳임에도 없는 것처럼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