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Slab) |
잔글 (→Slab)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OCTA는 3차원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깊이에 따른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영상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에 따라 원하는 층의 혈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을 나누는 경계는 일반적으로는 [[내경계막]], [[내망상층]], [[외망상층]], [[망막 색소상피]]층 또는 [[브루크막]]을 기준으로 한다<ref name=r5 />. | OCTA는 3차원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깊이에 따른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영상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에 따라 원하는 층의 혈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을 나누는 경계는 일반적으로는 [[내경계막]], [[내망상층]], [[외망상층]], [[망막 색소상피]]층 또는 [[브루크막]]을 기준으로 한다<ref name=r5 />. | ||
=== Slab === | === Slab === | ||
Slab은 일정 부피의 조직을 일컫는 단어로, 일반적으로 OCTA에서의 slab은 특정 범위의 망막층의 정면 (en-face) 영상을 일컫는다. | Slab은 일정 부피의 조직을 일컫는 단어로, 일반적으로 OCTA에서의 slab은 특정 범위의 망막층의 정면 (en-face) 영상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망막의 혈액 순환 체계은 크게는 내망상층을 기준으로 표층 (superficial) 및 심층 (deep), 두 구역으로 구분하여 | ||
* 표층 모세혈관총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slab | |||
* 심층 모세혈관총 (deep capillary plexus) slab | |||
영상으로 구현한다. 맥락막의 혈액 순환 체계는 | |||
* 맥락막 모세혈관 (choriocapillaris) slab | |||
* 맥락막혈관 (Choroidal vessel) slab | |||
영상으로 구현한다. | |||
=== 혈관의 특성 === | === 혈관의 특성 === | ||
위의 과정을 거쳐 확인한 영상을 보고, 혈관의 모양 (morphology), 구조 (architecture), 질감 (texture) 등을 규정할 수 있다. 이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에서는 정의되지 않던 용어로, 혈관의 모양 및 구조는 모양이 규칙적인지, 비규칙적인지, 혈관 밀도가 높은지, 낮은지, 혈관 간격이 넓은지, 좁은지, 혈관이 팽창되어 있는지 수축되어 있는지, 주행 방향이 어떤지 등을 보고 확인할 수 있고, 질감은 혈관의 밀도와 형태 등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거친지(coarse), 느슨한지 (loose), 과립모양인지(granularl, 세밀한지(fine), 얼룩덜룩한 지 (speckled), 옅은지(faint) 등으로 기술할 수 있다. | 위의 과정을 거쳐 확인한 영상을 보고, 혈관의 모양 (morphology), 구조 (architecture), 질감 (texture) 등을 규정할 수 있다. 이는 [[빛간섭 단층 촬영|OCT]]에서는 정의되지 않던 용어로, 혈관의 모양 및 구조는 모양이 규칙적인지, 비규칙적인지, 혈관 밀도가 높은지, 낮은지, 혈관 간격이 넓은지, 좁은지, 혈관이 팽창되어 있는지 수축되어 있는지, 주행 방향이 어떤지 등을 보고 확인할 수 있고, 질감은 혈관의 밀도와 형태 등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거친지(coarse), 느슨한지 (loose), 과립모양인지(granularl, 세밀한지(fine), 얼룩덜룩한 지 (speckled), 옅은지(faint) 등으로 기술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