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 두 판 사이의 차이

994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26일 (목)
잔글
7번째 줄: 7번째 줄:
영상을 획득하는 부위가 아직까지는 3×3, 6×6, 12×12 mm 정도로 후극부에 국한되어 있고, 수진자에 따라 촬영 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 영상의 질이 좋지 않아 이로 인해 해석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변화, 즉 동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에 비해, 촬영 시점의 정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고, 형광 누출, 고임, 염색이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해 얻을 수 없는 정보들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영상을 획득하는 부위가 아직까지는 3×3, 6×6, 12×12 mm 정도로 후극부에 국한되어 있고, 수진자에 따라 촬영 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 영상의 질이 좋지 않아 이로 인해 해석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변화, 즉 동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에 비해, 촬영 시점의 정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고, 형광 누출, 고임, 염색이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해 얻을 수 없는 정보들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 정상 소견 ==
== 정상 소견 ==
망막 중심동맥으로부터 분지된 망막의 혈관들은 각 사분면으로 뻗어나가며. 이 중 이측으로 뻗어나가는 혈관들은 황반부의 혈액 공급을 담당하게 되고, 황반부 중심에서는 [[오목 무혈관 부위]] (foveal avascular zone, FAZ) 를 형성한다. 망막의 가장 내층에 위치한 큰 동맥에서부터 세동맥, 모세혈관을 거치며 망막 내에 분포하게 되는데, 이 중 망막 내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모세혈관은 위치상 크게 표층 모세혈관총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과 심층 모세혈관총 (deep capillary plexus) 으로 나누게 된다. 기존의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은 망막의 혈관들을 영상화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지만, 좀 더 깊은 망막의 혈관들을 보는 데는 제한이 있었다. OCTA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비교적 선명하고 깊이에 따른 망막과 맥락막의 혈관들을 영상화할 수 있다.1,3,5
== 해석 ==
== 해석 ==
[[빛간섭 단층 촬영|OCT]]의 정면 (en-face) 영상을 해석하는 것과 유사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구역을 정한 후, 구역의 단면을 확인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영상을 분석하는 데는 영상의 깊이, slab, 혈류 신호 및 decorrelation signal, 혈관의 모양, 특성 등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빛간섭 단층 촬영|OCT]] 영상과 조금 달라서 여기에 쓰이는 단어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빛간섭 단층 촬영|OCT]]의 정면 (en-face) 영상을 해석하는 것과 유사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구역을 정한 후, 구역의 단면을 확인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영상을 분석하는 데는 영상의 깊이, slab, 혈류 신호 및 decorrelation signal, 혈관의 모양, 특성 등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빛간섭 단층 촬영|OCT]] 영상과 조금 달라서 여기에 쓰이는 단어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