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그렌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6 바이트 제거됨 ,  2025년 3월 19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원인 ==
== 원인 ==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 병태 생리 ==
== 병인 ==
눈물샘과 침샘에 활성화된 T세포가 침윤하며, 샘봐리세포와 세관 세포가 파괴되어 눈물과 침의 분비가 감소되는 질환이다. 염증 반응에 의해 표피세포에서 fodrin, Ro, La 등과 같은 자가항체가 발현되고 조직 특이적 CD4와 CD8 T세포가 정체된다. 눈물과 침의 분비 감소는 국소적으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눈물샘과 침샘 내의 무스카린수용체 에 직접 작용하는 자가항체의 작용으로 인해 더욱 가속화된다.
눈물샘과 침샘에 활성화된 T세포가 침윤하며, 샘봐리세포와 세관 세포가 파괴되어 눈물과 침의 분비가 감소되는 질환이다. 염증 반응에 의해 표피세포에서 fodrin, Ro, La 등과 같은 자가항체가 발현되고 조직 특이적 CD4와 CD8 T세포가 정체된다. 눈물과 침의 분비 감소는 국소적으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눈물샘과 침샘 내의 무스카린수용체 에 직접 작용하는 자가항체의 작용으로 인해 더욱 가속화된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 유전적 경향 : MHC 유전자와 연관된 항-SS-A와 항-SS-B 자가항체와 관련 있는 HLA-DQ1, HLA-DQ2 유전자, MHC 유전자와 무관한 apolipoprotein-E, carbonic anbydrase-2
* 유전적 경향 : MHC 유전자와 연관된 항-SS-A와 항-SS-B 자가항체와 관련 있는 HLA-DQ1, HLA-DQ2 유전자, MHC 유전자와 무관한 apolipoprotein-E, carbonic anbydras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