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분류) |
잔글 (→영상학적 분류)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영상학적 분류 === | === 영상학적 분류 === | ||
병변의 모양에 따라 분류한다<ref>Fries JW. The roentgen features of fibrous dysplasia of the skull and facial bones; a critical analysis of 39 pathologically proved cases. ''Am J Roentgenol Radium Ther Nucl Med''. 1957 Jan;77(1):71-88. [https://pubmed.ncbi.nlm.nih.gov/13381861/ 연결]</ref>. | 병변의 모양에 따라 분류한다<ref>Fries JW. The roentgen features of fibrous dysplasia of the skull and facial bones; a critical analysis of 39 pathologically proved cases. ''Am J Roentgenol Radium Ther Nucl Med''. 1957 Jan;77(1):71-88. [https://pubmed.ncbi.nlm.nih.gov/13381861/ 연결]</ref>. | ||
* 파젯형 | * 파젯형 : 가장 흔하다. | ||
* 경화형 | * 경화형 | ||
* 낭종형 : 가장 드물다. | * 낭종형 : 가장 드물다. 둥근 혹은 난원형의 모양을 보이며 보통 한 개의 병변을 보이고 얇고 뚜렷한 경계를 가지며 병변의 크기는 2~5 cm 정도이다. | ||
== 안과 소견 == | == 안과 소견 == | ||
안면 비대칭, 안구 돌출, 안위의 이상 등이 흔한 증상이며 침범되는 위치에 따라 복시, 대뇌신경 마비, 부정 교합, 두개내압 상승, 코눈물관 폐쇄,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안면 비대칭, 안구 돌출, 안위의 이상 등이 흔한 증상이며 침범되는 위치에 따라 복시, 대뇌신경 마비, 부정 교합, 두개내압 상승, 코눈물관 폐쇄,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