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안과 소견) |
잔글 (→치료)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치료 == | == 치료 == | ||
외과적 절제술로 뼈의 종창을 완화하거나 시신경 감압술 등을 하는 것인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사춘기가 지나 골격 성장이 멈추게 되면 병소가 진행하지 않으므로 다른 뼈에 이환된 경우와 유사하게 경과 관찰을 하고, 시력 상실 등의 증상이 진행성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조기수술을 하되 보존적으로 시행하여 이후 필요 시 반복적 수술로 기능적 장애를 최소화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3 대부분의 경우 시신경공을 침범하더라도 시신경병증이 발병하지 않기 때문에 예방적 시신경 감압술은 논란이 있다<ref>Edelstein C et al. Unilateral blindness after ipsilateral prophylactic transcranial optic canal decompression for fibrous dysplasia. ''AJO''. 1998 Sep;126(3):469-71. [https://pubmed.ncbi.nlm.nih.gov/9744390/ 연결]</ref><ref>Seiff SR. Optic nerve decompression in fibrous dysplasia : indications, efficacy, and safety. ''Plast Reconstr Surg''. 1997 Nov;100(6):1611-2. [https://pubmed.ncbi.nlm.nih.gov/9385983/ 연결]</ref>. | 외과적 절제술로 뼈의 종창을 완화하거나 시신경 감압술 등을 하는 것인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사춘기가 지나 골격 성장이 멈추게 되면 병소가 진행하지 않으므로 다른 뼈에 이환된 경우와 유사하게 경과 관찰을 하고, 시력 상실 등의 증상이 진행성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조기수술을 하되 보존적으로 시행하여 이후 필요 시 반복적 수술로 기능적 장애를 최소화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3 대부분의 경우 시신경공을 침범하더라도 시신경병증이 발병하지 않기 때문에 예방적 시신경 감압술은 논란이 있다<ref>Edelstein C et al. Unilateral blindness after ipsilateral prophylactic transcranial optic canal decompression for fibrous dysplasia. ''AJO''. 1998 Sep;126(3):469-71. [https://pubmed.ncbi.nlm.nih.gov/9744390/ 연결]</ref><ref>Seiff SR. Optic nerve decompression in fibrous dysplasia : indications, efficacy, and safety. ''Plast Reconstr Surg''. 1997 Nov;100(6):1611-2. [https://pubmed.ncbi.nlm.nih.gov/9385983/ 연결]</ref>.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