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새 문서: 방수 유출 장치 (glaucoma drainage implant) 는 관을 이용하여 전방으로부터 테논낭 아래까지 방수 유출로(shunt)를 만들어줌으로써 방수를 안구...) |
잔글 (→합병증)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전방 출혈 : 보통 수 일 내에 흡수된다. | * 전방 출혈 : 보통 수 일 내에 흡수된다. | ||
* 관-각막 접촉 : 심각한 합병증으로 대부분 수술 직후에 발생하며, 보통 시축을 벗어나 있으면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때로는 각막 내피의 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미만성 각막 부종과 수포 각막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 관-각막 접촉 : 심각한 합병증으로 대부분 수술 직후에 발생하며, 보통 시축을 벗어나 있으면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때로는 각막 내피의 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미만성 각막 부종과 수포 각막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
* 관-홍채 접촉 : 관의 끝이 홍채 조직으로 인하여 폐쇄되어서 수술의 조기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아르곤 레이저나 Nd-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막힌 실리콘 | * 관-홍채 접촉 : 관의 끝이 홍채 조직으로 인하여 폐쇄되어서 수술의 조기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아르곤 레이저나 Nd-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막힌 실리콘관의 입구를 열어주어 방수가 유출되도록 한다. | ||
* 관-수정체 접촉 : 백내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구내) 인공수정체와[/a]의 접촉은 인공수정체 탈구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 |||
* 관-유리체면 접촉 : 관의 폐쇄로 수술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 |||
* 저안압 :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관이 전방내로 더 밀려들어가는 경향이 있어 때로는 동공을 가릴 수도 있으며, 고식적 여과 수술과 마찬가지로 맥락막 삼출이나 맥락막 위공간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 |||
* 일시적 고안압 : 술 후 몸체를 둘러싸는 섬유성 낭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낭이 형성되고 성숙되는 시기에 해당하는 수술 4~6주 후에 일시적으로 안압이 높아지는 경우가 흔하다. 이 때에는 베타 차단제 등을 사용하여 안압을 조절해주어야 하며, 낭의 벽이 섬유화하여 두꺼워지지 않도록 스테로이드 점안을 병행한다. | |||
* 안압 조절의 실패 : 방수 유출 장치의 몸체 주위에 형성되는 섬유성 벽이 과도한 섬유화로 두꺼워져 투과성이 떨어짐으로써 발생한다. | |||
* 관이나 몸체가 공막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으면 관이 이동하여 전방 바깥쪽으로 빠져 나가거나 반대로 전방 내로 너무 깊이 들어갈 수 있다. | |||
* 소아에서 눈이 자람에 따라 유출 장치가 돌출될 수 있으며 재위치 시켜주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 |||
* 실리콘 관이나 몸체의 노출 :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반드시 수술적 교정을 해주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