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주머니 게실: 두 판 사이의 차이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5년 7월 23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역학)
3번째 줄: 3번째 줄:
Malik 등<ref name=r3>Malik SR et al. DCG of normal and pathological lacrimal passages. ''BJO''. 1969 Mar;53(3):174-9. [https://pubmed.ncbi.nlm.nih.gov/5777350/ 연결]</ref>은 눈물 흘림 증상이 있는 169명의 환자에서 [[눈물주머니 조영술]] (DCG) 을 시행하였고 그중 14명 (8.28%) 에서 눈물주머니 게실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Enright 등<ref>Enright NJ et al. Nasolacrimal Sac Diverticulum : A Case Series and Literature Review.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19 Jan/Feb;35(1):45-49. [https://pubmed.ncbi.nlm.nih.gov/29952932/ 연결]</ref>은 DCG를 통해 확인된 눈물주머니 게실의 발생률이 1.6%라고 보고하였다.
Malik 등<ref name=r3>Malik SR et al. DCG of normal and pathological lacrimal passages. ''BJO''. 1969 Mar;53(3):174-9. [https://pubmed.ncbi.nlm.nih.gov/5777350/ 연결]</ref>은 눈물 흘림 증상이 있는 169명의 환자에서 [[눈물주머니 조영술]] (DCG) 을 시행하였고 그중 14명 (8.28%) 에서 눈물주머니 게실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Enright 등<ref>Enright NJ et al. Nasolacrimal Sac Diverticulum : A Case Series and Literature Review.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19 Jan/Feb;35(1):45-49. [https://pubmed.ncbi.nlm.nih.gov/29952932/ 연결]</ref>은 DCG를 통해 확인된 눈물주머니 게실의 발생률이 1.6%라고 보고하였다.


주로 눈물주머니와 코눈물관의 연결부나 눈물주머니의 외측 벽에 가깝게 위치한다<ref name=r3 /><ref>Kim JH et al. Multilobular lacrimal sac diverticulum presenting as a LL mass. ''KJO''. 2012 Aug;26(4):297-300. [https://pubmed.ncbi.nlm.nih.gov/22870030/ 연결]</ref><ref name=r4>Sinnreich Z. Lacrimal diverticula. ''Orbit''. 1998 Sep;17(3):195-200. [https://pubmed.ncbi.nlm.nih.gov/12048728/ 연결]</ref><ref>Polito E et al. Imaging techniques in the diagnosis of lacrimal sac diverticulum. ''Ophthalmologica''. 1995;209(4):228-32. [https://pubmed.ncbi.nlm.nih.gov/8545101/ 연결]</ref>.
주로 눈물주머니와 코눈물관의 연결부나 눈물주머니의 외측 벽에 가깝게 위치한다<ref name=r3 /><ref>Kim JH et al. Multilobular lacrimal sac diverticulum presenting as a LL mass. ''KJO''. 2012 Aug;26(4):297-300. [https://pubmed.ncbi.nlm.nih.gov/22870030/ 연결]</ref><ref name=r6>Sinnreich Z. Lacrimal diverticula. ''Orbit''. 1998 Sep;17(3):195-200. [https://pubmed.ncbi.nlm.nih.gov/12048728/ 연결]</ref><ref>Polito E et al. Imaging techniques in the diagnosis of lacrimal sac diverticulum. ''Ophthalmologica''. 1995;209(4):228-32. [https://pubmed.ncbi.nlm.nih.gov/8545101/ 연결]</ref>.


== 원인 ==
== 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