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 두개내 고혈압: 두 판 사이의 차이

341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8월 1일 (금)
잔글
잔글 (→‎소견)
잔글 (→‎소견)
16번째 줄: 16번째 줄:
* 일시적 시야 흐림 : 단안에만 올 수도 있고 양안에 같이 올 수도 있는데 몸을 구부리거나 구부린 몸을 펼 때 발생하기도 한다. 시력 저하의 원인은 유두 부종으로 인한 시신경 유두의 일시적인 허혈로 생각된다.
* 일시적 시야 흐림 : 단안에만 올 수도 있고 양안에 같이 올 수도 있는데 몸을 구부리거나 구부린 몸을 펼 때 발생하기도 한다. 시력 저하의 원인은 유두 부종으로 인한 시신경 유두의 일시적인 허혈로 생각된다.
* 울혈 유두로 인한 중심 시각 장애 : 흔하지 않지만 황반 출혈이나 삼출물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 울혈 유두로 인한 중심 시각 장애 : 흔하지 않지만 황반 출혈이나 삼출물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 시신경 부종이 오래 지속되거나 적절히 치료되지 않는 경우 시신경 위축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영구적인 시력 저하를 야기하기도 한다. 6 따라서 시신경부종의 존재 여부는 질병의 중증도와 시력 예후의 주요 지표로 손꼽힌다.7
* 시신경 부종이 오래 지속되거나 적절히 치료되지 않는 경우 시신경 위축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영구적인 시력 저하를 야기하기도 한다<ref>Baheti NN et al. Long-term visual outcome in IIH. ''Ann Indian Acad Neurol''. 2011 Jan;14(1):19-22. [https://pubmed.ncbi.nlm.nih.gov/21633609/ 연결]</ref>. 따라서 시신경 부종의 존재 여부는 질병의 중증도와 시력 예후의 주요 지표로 손꼽힌다<ref>Mollan SP et al. IIH : consensus guidelines on managemen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18 Oct;89(10):1088-1100. [https://pubmed.ncbi.nlm.nih.gov/29903905/ 연결]</ref>.


== 진단 ==
==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