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원인)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원인 == | == 원인 == | ||
위시상 정맥동, 횡정맥동의 압박으로 인한 두개내 정맥 배출의 장애, 내분비 혹은 대사 장애, 임신, 갑상선 기능 저하, 스테로이드, tetracycline, 비타민 A 등의 투여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빈혈도 두개강내 정맥동 혈액의 점도에 영향을 주어 뇌척수액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 | 위시상 정맥동, 횡정맥동의 압박으로 인한 두개내 정맥 배출의 장애, 내분비 혹은 대사 장애, 임신, 갑상선 기능 저하, 스테로이드, tetracycline, 비타민 A 등의 투여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빈혈도 두개강내 정맥동 혈액의 점도에 영향을 주어 뇌척수액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 | ||
* 비만 : 특히 | * 비만 :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ref name=r6 />. 일반 인구에서 IIH의 발생률은 1:100,000 으로 알려져 있었으나<ref>Per H et al. Clinical spectrum of the pseudotumor cerebri in children : etiological, clinical features, treatment and prognosis. ''Brain Dev''. 2013 Jun;35(6):561-8. [https://pubmed.ncbi.nlm.nih.gov/22981259/ 연결]</ref><ref>Radhakrishnan K et al. IIH (pseudotumor cerebri). Descriptive epidemiology in Rochester, Minn, 1976 to 1990. ''Arch Neurol''. 1993 Jan;50(1):78-80. [https://pubmed.ncbi.nlm.nih.gov/8418804/ 연결]</ref>, 최근 인구가 비만해지는 추세와 함께 질병에 대한 인식 역시 증가하면서 발생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ref>Yiangou A et al. IIH : a step change in understanding the disease mechanisms. ''Nat Rev Neurol''. 2023 Dec;19(12):769-785. [https://pubmed.ncbi.nlm.nih.gov/37957260/ 연결]</ref>.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