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안와근염) |
잔글 (→안와근염)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백신 이후 수시간에서 수일 이내 안와근염이 발생한 경우가 국외에서 드물게 보고되었다. 모두 안와근염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원인 질환을 감별하는 검사에서 양성 소견이 없던 환자였으며, 백신 유형으로는 BNT162b2 (Pfizer®) 이 대부분이었고 mRNA-1273 (Moderna®) 도 있었다<ref>Reshef ER et al. Orbital Inflammation Following COVID-19 Vaccination.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22 May-Jun 01;38(3):e67-e70. [https://pubmed.ncbi.nlm.nih.gov/35323144/ 연결]</ref>. mRNA 외 다른 유형의 백신과 안와근염의 연관성을 시사하는 사례에 대해서는 아직 국내외에 보고된 바가 없다 | 백신 이후 수시간에서 수일 이내 안와근염이 발생한 경우가 국외에서 드물게 보고되었다. 모두 안와근염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원인 질환을 감별하는 검사에서 양성 소견이 없던 환자였으며, 백신 유형으로는 BNT162b2 (Pfizer®) 이 대부분이었고 mRNA-1273 (Moderna®) 도 있었다<ref>Reshef ER et al. Orbital Inflammation Following COVID-19 Vaccination.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22 May-Jun 01;38(3):e67-e70. [https://pubmed.ncbi.nlm.nih.gov/35323144/ 연결]</ref>. mRNA 외 다른 유형의 백신과 안와근염의 연관성을 시사하는 사례에 대해서는 아직 국내외에 보고된 바가 없다 | ||
발생 시기는 대부분 접종 이후 수시간에서 2일 이내였으나, 10일 뒤에 발생한 사례도 있었다<ref>Ang T et al. Orbital inflammation following COVID-19 vaccination : A case series and literature review. ''Int Ophthalmol''. 2023 Sep;43(9):3391-3401. [https://pubmed.ncbi.nlm.nih.gov/37198501/ 연결]</ref>. 근육 침범 양상은 하나의 외안근만 침범하는 경우부터 양안의 다수의 외안근을 침범하는 경우까지 다양하였으며, 단안의 모든 외안근을 침범하는 동시에 반대안은 정상인 경우도 있었다. 또한 같은 환자에서 동일한 백신을 여러 차례 접종해도 각각 다른 이상 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는데, Ang | 발생 시기는 대부분 접종 이후 수시간에서 2일 이내였으나, 10일 뒤에 발생한 사례도 있었다<ref name=r15>Ang T et al. Orbital inflammation following COVID-19 vaccination : A case series and literature review. ''Int Ophthalmol''. 2023 Sep;43(9):3391-3401. [https://pubmed.ncbi.nlm.nih.gov/37198501/ 연결]</ref>. 근육 침범 양상은 하나의 외안근만 침범하는 경우부터 양안의 다수의 외안근을 침범하는 경우까지 다양하였으며, 단안의 모든 외안근을 침범하는 동시에 반대안은 정상인 경우도 있었다. 또한 같은 환자에서 동일한 백신을 여러 차례 접종해도 각각 다른 이상 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는데, Ang 등<ref name=r15 />의 보고에 따르면 BNT162b2 (Pfizer®) 을 4회 접종한 환자에서 첫번째, 세 번째 백신 접종 시에는 특이 이상 반응이 없었으나 두 번째, 네 번째 백신 접종 각각 1일, 7일 이후 외안근염이 발생한 경우도 있었다. | ||
치료 경과를 보았을 때 국외에 보고된 모든 환자에서 특발성 외안근염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인 스테로이드 치료로 완전히 회복되었으며, 이후 경과 관찰 시에도 재발은 없었던 것으로 보아 임상 경과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생각된다. | 치료 경과를 보았을 때 국외에 보고된 모든 환자에서 특발성 외안근염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인 스테로이드 치료로 완전히 회복되었으며, 이후 경과 관찰 시에도 재발은 없었던 것으로 보아 임상 경과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생각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