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두께 측정계: 두 판 사이의 차이

2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20일 (금)
잔글
(새 문서: <b>각막 두께 측정계 (corneal pachymetry)</b> == 각막 두께의 생리 == 정상 각막에서 가장 얇은 부분은 <span style='color:blue;'>중심에서 이측으로 *5mm...)
 
 
1번째 줄: 1번째 줄:
<b>각막 두께 측정계 (corneal pachymetry)</b>
<b>각막 두께 측정계 (corneal pachymetry)</b>
== 각막 두께의 생리 ==
== 각막 두께의 생리 ==
정상 각막에서 가장 얇은 부분은 <span style='color:blue;'>중심에서 이측으로 *5mm 떨어진 지점</span>이다. Rapuano 등이 303안의 정상 각막을 조사한 결과 각막 두께는 410~625㎛ 범위였으며, 중심 두께의 평균은 515㎛였다. 중심옆 부위는 아래쪽이 522㎛에서 위쪽으로 574㎛까지 다양했으며, 각막 주변부는 아래쪽이 633㎛에서 위쪽으로 673㎛까지 다양헀다. 우안/좌안, 성별 차이, 일중 변동, 전신적 투약 여부와는 관계가 없었다. 나이가 들면서 중심부를 제외한 중심옆과 주변부의 두께는 얇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br />정상 각막에서 중심부(4mm 광학부)는 중간주변부(4~9mm 광학부)보다 얇고, 주변부가 가장 두껍다. 그러므로 각막 중심부가 중간주변부보다 두껍다면 내피세포의 기능 부전을 의심할 수 있다. 내피세포의 이상 초기에는 중심부와 중간주변부의 각막 두께가 비슷해진다. 내피세포 부전으로 인해 각막 두께가 증가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푹스 내피세포 이상증]]과 [[인공수정체 수포 각막병증]]이며, 두께가 얇아지는 병은 원추각막과 [[투명 각막 가장자리 변성]] 등이 있다.<br />안압이 정상인 경우 상피세포 부종은 각막 기질이 40% 팽창할 때(700㎛ 정도로 각막 두께가 증가할 때) 발생한다. 각막 두께가 620㎛ 이상인 경우는 백내장 수술 후에 각막 부전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br />눈을 감을 경우 4% 정도의 각막 부종이 발생하며, 콘택트렌즈 연속 착용의 경우 9~10%, 자는 동안에는 11~14% 정도의 부종이 생긴다. 각막이 4~8% 두꺼워지면 선이 보이고, 11~12% 두꺼워지면 주름이 발생하며, 20% 이상 두꺼워지면 각막의 투명성이 소실된다.
정상 각막에서 가장 얇은 부분은 <span style='color:blue;'>중심에서 이측으로 1.5mm 떨어진 지점</span>이다. Rapuano 등이 303안의 정상 각막을 조사한 결과 각막 두께는 410~625㎛ 범위였으며, 중심 두께의 평균은 515㎛였다. 중심옆 부위는 아래쪽이 522㎛에서 위쪽으로 574㎛까지 다양했으며, 각막 주변부는 아래쪽이 633㎛에서 위쪽으로 673㎛까지 다양헀다. 우안/좌안, 성별 차이, 일중 변동, 전신적 투약 여부와는 관계가 없었다. 나이가 들면서 중심부를 제외한 중심옆과 주변부의 두께는 얇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br />정상 각막에서 중심부(4mm 광학부)는 중간주변부(4~9mm 광학부)보다 얇고, 주변부가 가장 두껍다. 그러므로 각막 중심부가 중간주변부보다 두껍다면 내피세포의 기능 부전을 의심할 수 있다. 내피세포의 이상 초기에는 중심부와 중간주변부의 각막 두께가 비슷해진다. 내피세포 부전으로 인해 각막 두께가 증가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푹스 내피세포 이상증]]과 [[인공수정체 수포 각막병증]]이며, 두께가 얇아지는 병은 원추각막과 [[투명 각막 가장자리 변성]] 등이 있다.<br />안압이 정상인 경우 상피세포 부종은 각막 기질이 40% 팽창할 때(700㎛ 정도로 각막 두께가 증가할 때) 발생한다. 각막 두께가 620㎛ 이상인 경우는 백내장 수술 후에 각막 부전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br />눈을 감을 경우 4% 정도의 각막 부종이 발생하며, 콘택트렌즈 연속 착용의 경우 9~10%, 자는 동안에는 11~14% 정도의 부종이 생긴다. 각막이 4~8% 두꺼워지면 선이 보이고, 11~12% 두꺼워지면 주름이 발생하며, 20% 이상 두꺼워지면 각막의 투명성이 소실된다.
 
== 분류 ==
== 분류 ==
* 광학 세극등 두께 측정계 : 눈물층 또는 각막 전면과 내피세포면을 세극등으로 직접 보며 측정하는 것이다. 각막 굴절률과 전면 곡률반경을 공식에 넣어 계산하는 방법으로, 비용이 다소 낮고 비접촉법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span style='color:blue;'>굴절률 오차와 검사자 간의 오차가 나타나므로</span>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 광학 세극등 두께 측정계 : 눈물층 또는 각막 전면과 내피세포면을 세극등으로 직접 보며 측정하는 것이다. 각막 굴절률과 전면 곡률반경을 공식에 넣어 계산하는 방법으로, 비용이 다소 낮고 비접촉법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span style='color:blue;'>굴절률 오차와 검사자 간의 오차가 나타나므로</span>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