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 전안부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1,033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26일 (목)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원인)
4번째 줄: 4번째 줄:
== 원인 ==
== 원인 ==
수술 시 사용하는 관류액의 성분과 농도, pH, 오스몰 농도 등이 적절치 않은 경우, 변성된 점탄 물질을 사용한 경우, 수술기구 소독에 사용한 계면활성제, 독성을 가진 약물, 세균 독소, 항생제에 의하 독성, 인공수정체와 관련된 인자 등이 다양하게 고려되고 있다.
수술 시 사용하는 관류액의 성분과 농도, pH, 오스몰 농도 등이 적절치 않은 경우, 변성된 점탄 물질을 사용한 경우, 수술기구 소독에 사용한 계면활성제, 독성을 가진 약물, 세균 독소, 항생제에 의하 독성, 인공수정체와 관련된 인자 등이 다양하게 고려되고 있다.
* 관류액 : [[평형 염액]]과 같은 관류액은 이온 조성, 오스몰 농도, pH가 기준에 맞지 않게 제조되면 독성 전안부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산동을 위한 [[에피네프린]]과 관류액에 첨가하는 항생제 등 [[평형 염액]]에 첨가되는 약물이나 용액 등도 염증을 일으킬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2005년 미국에서는 이온 조성 등이 기준에 맞게 제조되었으며 다른 약제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평형 염액에서도 제조시에 생긴 내독소에 의해 독성 전안부 증후군이 발생하여 해당 브랜드의 [[평형 염액]]이 전량 회수되기도 하였다.
* 보존제와 안정제 : 각막 내피 세포는 점안액이나 용액에 대부분 첨가되어 있는 보존제에 굉장히 취약하다.
* 마취제
* 항생제 : 항생제는 관류액에 섞어서 사용할 때나 수술이 끝난 후 전방에 주입할 때 모두 안내 구조물에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 [[점탄 물질]]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심한 각막부종과 전방 내 섬유소를 형성하는 염증을 동반하는데, 이 때 유리체염증은 없거나 경미하다. 독성이 아주 심한 경우 염증 반응이 여러 안내 조직을 파괴하여 섬모체 부전, 저안압, 급성 망막염 혹으 망막 괴사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
심한 각막부종과 전방 내 섬유소를 형성하는 염증을 동반하는데, 이 때 유리체염증은 없거나 경미하다. 독성이 아주 심한 경우 염증 반응이 여러 안내 조직을 파괴하여 섬모체 부전, 저안압, 급성 망막염 혹으 망막 괴사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